영화검색
검색
 
박찬욱vs봉준호
skarlgh22 2006-12-13 오후 8:43:19 1331297   [15]
사람들에게 대한민국 영화계의 대표감독을 뽑으라면 박찬욱과 봉준호를 뽑곤 한다
우선 자신만의 스타일로 영화를 이끌어나가는 재능을 가지신 박찬욱 감독님
그리고 대중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만족시켜 두번이나 500만 관객을 돌파하신 봉준호 감독님
흥행면에서는 위에서 말했다시피 봉준호 감독님이 우세하다
하지만 흥행만으로 판단한다는것은 확실히 무리가 있다
우선 박찬욱 감독님이 수작으로 꼽히고 있는 '복수는 나의 것'과 '올드보이'.
복수는 나의 것에서는 단순한 유괴사건이 아닌 사회고발의 메시지와 주도면밀한 스릴러의 묘미를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유괴사건은 우선 '사악한 유괴범'과 '순진무구한 보호자들'이 기억나는데
그러한 예상을 완전히 뒤집어 '미워하기 힘든 유괴범'과 '주도면밀한 보호자들'을 연출해 재미를 더한다
올드보이에서는 얽히고 얽힌 원한을 풀어나가는 형식으로써 차차드러나는 반전을 곳곳에 숨겨두고 있다
박찬욱의 영화는 그만의 특유의 깔끔함(죽이고 죽이지만 이상하게도 깔끔한 느낌이 난다)과 그만의 전달하는 메시지로 관객들에게 극장을 나갈 때 단순히 '아 재밌다'가 아닌 한번 더 생각하게 하는 묘미가 있다
그리고 봉준호 감독님의 수작으로 꼽히는 '살인의 추억'과 '괴물'.
살인의 추억을 처음봤을때 오랜만의 '한국산 웰메이드 영화'를 본 느낌이었다
단하나의 헛점을 찾아볼수 없었다 특히 눈에 띄는건 '시골'의 송강호와 '서울'의 김상경이었다
그건 단순히 이영화에서만의 대립이 아닌 80년대 우리사회를 반영하는 의도가 있는것 같다
살인의 추억을 보는 끝까지 극장에서는 긴장감이 흘렀고 엔딩크레딧이 올라간후
반응은 괜찮았던것으로 기억된다 모두 후회없는 얼굴이었다
그리고 괴물,우선 괴물은 영화의 완성도보다는 1300만이라는 관객수와
미국을 비판한다는 것에 대해 먼저 주목을 받는 영화이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거기에는 한국의 소시민들의 단아한 삶이 얼마나 파괴될수 있으며 그 삶을 지켜줘야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봉준호의 영화는 확실히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하고 있다
박찬욱vs봉준호 여러분의 선택은 누구?
 
(총 5명 참여)
sookwak0710
봉준호     
2010-09-17 10:59
wizardzeen
봉준호 감독     
2010-08-04 11:01
goory123
봉준호 감독     
2010-04-22 09:56
kiwy104
봉감독에 한표     
2010-04-17 23:17
sookwak0710
박찬욱     
2010-04-16 10:28
peacheej
봉준호     
2010-03-30 11:07
onesik
재미있게 감상했어요~!!     
2010-03-28 16:23
wizardzean
봉준호     
2010-03-22 12:06
kwakjunim
봉준호 감독     
2010-02-02 13:47
k3056541
박찬욱     
2009-07-04 08:29
1


공지 티켓나눔터 이용 중지 예정 안내! movist 14.06.05
공지 [중요] 모든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안내 movist 07.08.03
공지 영화예매권을 향한 무한 도전! 응모방식 및 당첨자 확인 movist 11.08.17
7336 2009년 영화계 결산 (37) opallios21 09.12.31 997022 0
7335 [쉬어갑시다] 여려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1) fyu11 09.12.31 3008 0
7334 '아바타', 개봉 보름만에 500만 돌파...신기록 관심 (36) opallios21 09.12.31 2723 2
7333 예매권 등록 횟수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31) yjyj3535 09.12.31 1673 0
7332 아바타의 위엄?!?!?왕십리 티켓오픈 2시간만에 주요좌석매진!!!!!!!!! (32) gavleel 09.12.30 2971 3
7329 고현정의 시대네요. 대물 확정이랍니다. (55) kop989 09.12.30 1040766 2
7328 영화퀴즈 오염되다?? (38) halfrida 09.12.30 2576 4
7326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8> (40) dojunmok 09.12.30 2806 9
7325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7> (31) dojunmok 09.12.30 2545 6
7324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6> (31) dojunmok 09.12.30 2958 6
7323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5> (30) dojunmok 09.12.30 2429 7
7322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4> (31) dojunmok 09.12.30 936126 7
7321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3> (33) dojunmok 09.12.30 2411 7
7320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2> (31) dojunmok 09.12.29 2850 9
7319 2010년 기대작 미리 알고 보자~! <Part 1> (36) dojunmok 09.12.29 669224 7
7313 2000년대 최고의 헐리우드 여배우 best 20. (32) cipul3049 09.12.29 3109 2
7309 천계영 "오디션" 만화영화 개봉! 영화나? 드라마로는? (34) ffoy 09.12.29 2475 3
7307 2D와 3D의 결정적 차이!! 이 한컷으로 고개가 끄덕 (67) kop989 09.12.29 1047815 5
7306 지붕뚫고 하이킥 연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6) halfrida 09.12.29 2273 1
7304 4D라고? 4D가 뭔줄 알고? (33) karamajov 09.12.29 2318 2
7303 2000년대 최고의 헐리우드 남배우 best 20. (35) cipul3049 09.12.28 2780 0
7301 mbc연예대상 누가받을까요? (36) guy12 09.12.28 2137 0
7300 헐리웃의 일본 사랑 ♡ (32) emmi 09.12.28 1799 0
7298 한국영화 1주 1편 보기 1,000만 명 서명 캠페인 (57) fornest 09.12.28 986525 8
7297 IMAX 3D 안경색 (34) diana35 09.12.28 2193 2
7296 4D와 3D 가격 (43) diana35 09.12.28 1036004 0
7294 연말에 영화가 더더욱 보고 싶어지는 이유는? (36) ssan007 09.12.28 1706 0
7293 예능 프로그램에서 진짜 연인 된 양희승 현영~~ (34) kwyok11 09.12.28 1687 0
7292 아바타 드롭율 거의 없는 무서운 흥행세 이어가... (39) gunz73 09.12.28 3273 0
7291 여러분들만의 단골극장은? 그렇다면 why? (35) sookwak0710 09.12.28 1633 3
7290 2009년 올 한해 영화 몇편이나 보셨나요?^^ (35) yjmnbvc 09.12.28 1646 0
7289 아바타의 매력포인트는 무엇인가여? (35) guy12 09.12.27 1875 0
7288 '아바타'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드셨는지요? (29) ritschl 09.12.27 1702 0
7281 만약에 <울학교이티> 요즘 개봉했다면 흥행 했을까요? (55) dkstjdtn123 09.12.25 1039685 1
7276 이번주 TV 영화 (24일 ~27일) (37) anseup 09.12.24 2493 0
7273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아바타 예상관객수는?!? (54) sdw1102 09.12.24 1042724 2
7267 올해도 배우들 키스 많이 했네 !…'키스신 베스트 10' (33) fornest 09.12.24 2087 0
7266 스폰지하우스 중앙도 영업종료 ㅠㅠ (37) gunz73 09.12.24 1967 2
7265 <용서는 없다> 용서가 안되는 영화! (32) monica1383 09.12.24 2454 0
7261 성룡 최고의 영화는? (34) benitez 09.12.23 2269 3
이전으로이전으로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다음으로 다음으로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