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시간과 영화의 경이적인 만남을 성사시킨, ‘까페 뤼미에르’
2005년 10월 18일 화요일 | 최경희 기자 이메일

.
<밀레니엄 맘보>에서 ‘허우 샤오시엔’ 감독은 비키(서기)가 머무는 일본의 모텔 안에서 창밖의 전철을 보며 주인공의 정체된 시간과 일상의 흘러가는 시간을 충돌시켜 시간(과거, 현재, 미래)의 고유성을 포착해냈다. 전철이 등장하는 이 장면에서 많은 사람들은 허우 샤오시엔이 오즈 야스지로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가 추구하는 일상의 형식미가 오즈의 영화세계와 포개지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그가 일상의 관찰자가 되어 동경을 무대로 오즈에게 헌정하는 혹은, 오즈의 영화적 세계를 재창조하는 작업에 참여한 사실은 일견 당연해 보인다.

프리랜서 작가 ‘요코’(히토토 요)는 대만출신의 일본 음악가 ‘장웬예’의 행적을 찾아 동경의 여기저기를 찾아다닌다. 그녀의 옆에는 고서점을 운영하면서 전철의 소리를 녹음하는 게 취미인 ‘하지메’(아사노 타다노부)라는 친구가 있다. 이 둘의 공통점은 같이 또는 혼자, 동경의 거리를 배회하면서 잊혀져간 과거의 소리나 누군가의 흔적을 기록하는 것이다. 요코가 동경을 거닐 때 흘러가는 시간성은 영화 밖에 고스란히 노출된다. 일순 무의미하게 보이는 그녀의 일상은 극히 미약한 내러티브-장웬예의 흔적과 기록을 수집하는 일-만 가지고 있기에, 카메라에 세세하게 잡힌 그녀의 행동과 시간의 경과는 영화를 보는 관객들의 현재 시간 즉, 동시대성을 ‘환기’하는 허우 샤오시엔 감독의 소통방식이 된다.

오즈 야스지로 감독은 인물이 카메라 밖으로 빠져나가도 빈 공간을 계속해서 응시하는 방식으로 시간성을 획득했다면 허우 감독은 그와는 다른 방식으로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를 찾아낸다.

<카페 뤼미에르>는 두 가지 이야기로 (정확하게 구분되어) 엮어져 있다. 하나는 요코와 하지메가 지나간 흔적이나 소리를 담아두는 일상의 묘사부분이고 나머지 하나는 요코의 가족이야기다. 요코의 가족이야기에 이르러 허우 감독은 표면의 고요함 밑에 내재하는 울컥 치솟는 격랑을 드러내며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를 정면으로 직시한다. 요코는 대만에 살고 있는 남자친구의 아이를 가졌다면서 아이는 낳겠지만 결혼은 하지 않겠다고 부모 앞에서 선언해 버린다. 허우 감독은 이 부분을 오즈처럼 다다미 숏(정면으로)의 구도로 잡고 있지만 정면에서 바라보기보다 약간 측면에서 인물과 공간을 잡아 그들의 감정을 좀 더 구체화 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인물에 다가서지 않는 이런 ‘거리두기’ 형식은 대부분 피사체를 객관화시켜 감정보다 그 안에서 파생하는 이질적인 의미망 속에서 동일시를 추구하는 방식인데 허우는-오즈의 영화적 형식을 재해석해-인물의 감정을 좀 더 풍성하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이용한다. 오즈의 그 유명한 다다미 숏도 공간 속에 정돈된 자세로 앉아 있는 인물들의 내면을 비추는 또 다른 거울로 이용했듯이, 허우도 카메라의 응시를 통해 인물들의 다양한 감정을 담아내고 있다.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 속 여성들은 부모님이 정해준 상대와 순종적인 결혼을 하는 인물들로 그려지는 데 반해, 요코는 결혼을 거부함으로써 오즈 야스지로 시대와의 결별을 고한다. 여기서 ‘결별’은 양면적인 뜻으로 쓰였다. 요코가 장웬예의 흔적을 찾아 ‘전철’을 타고 동경을 거니는 그 ‘일상’은, 세상과 ‘소통’하려는 인물의 자의식이 드러난 태도이며 현 일본여성의 정체성을 허우 감독이 이방인의 시선으로 발견했다는 증거다. 동경을 하나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세상 밖으로 나가보려는(전철을 이용) 인물들을 카메라에 잡음으로써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된 일본인의 현재 모습을 요코의 결혼거부와 일을 통해 자연스럽게 녹여낸 거다.

따라서 결별의 의미는 과거를 긍정하고 주어진 현재와 미래를 위해 나아가는 인물의 소통방식인 ‘전철’을 통해 오즈의 영화세계와 조우하면서 생겨난 과거와 현재의 ‘차이’를 뜻한다. 더불어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고리가 있음을 방증하는 반어적 표현이다.

허우 감독은 교차하는 전철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과거에도 현재에도 머물지 않고 무형의 미래로 나아가는 시간의 불도착성을 관조한다. 하지메가 전철들의 소리를 녹음하면서 순간 과거로 변해버리는 현재를 작은 녹음기에 붙잡아 두는 것은, 시간의 흔적을 기록하는 일이다. 비가시적인 시간을 잡아둠으로써 매번 다른 숨결을 내뿜는 전철의 소리를 구분할 수 있고 이것이 그들의 존재성을 증명해준다. 과거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는 일상 속에 경유하고 있음을 허우 감독은 동시대의 시간성을 공간(동경, 전철)안에서 길어 올리는 영화적 경지를 보여준다.

오즈 야스지로 감독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잊혀져가는 것들에 대한 애잔함을 ‘지나가는’ 전철로 표현해 냈다면 허우 감독은 ‘전철’을 과거에 의해 증명되어지는 인물들의 정체성으로 의미를 확장 해석했다. 오즈와의 영화적 교류를 위해 허우 샤오시엔은 동경의 전철을 매개 삼지만 둘의 영화세계가 만나는 교착점에 이르러서는 오즈와는 다른 영화적 미학을 추구하는 방향에서 영화를 마무리한다.

요코와 하지메가 각각 다른 전철을 탄 상태에서 교차하고 다시 역에서 만나는 라스트씬은 영화와 인생을 아우르는 시간의 전능함을 유장하게 펼쳐낸, 현재 허우 감독의 영화적 미학의 정점이다.

허우 샤오시엔이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만든 <카페 뤼미에르>는 이방인의 시선으로 일본인의 일상을 관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영화史 백년을 관통하는 시간의 마술을 풀어봄으로써 역으로, 영화의 ‘현실성’을 입증한 작품이다. 그 안에 우리의 시간도 포함되어 있기에, <까페 뤼미에르>는 잠시 머물다 갈 수 있는 커피 향 그윽한 ‘카페’이자, 영화 향 가득한 ‘극장’이다.

4 )
qsay11tem
좋은 자료 탱큐   
2007-11-25 13:08
kpop20
기사 잘 읽었습니다   
2007-05-17 11:56
welles
글 잘 읽었어요. 앞으로도 좋은 글 기대할께요. ^^   
2005-11-04 03:29
huhugirl
전 자다가 졸다가...비몽사몽간에 봤어요! 너무 지루해서^^; 나중에 영화다보고 나와서 정보지보고서야 여주인공이 친구한테 임신사실을 알렸다는걸 알았따니깐요^^; 피곤하신분은 절대 피하셔야 할 영화인듯^^;   
2005-10-20 16:36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