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8살 김대명은 어땠을까 떠올렸다 <돌멩이> 김대명
2020년 10월 15일 목요일 | 박꽃 기자 이메일

[무비스트=박꽃 기자]


몸은 30대지만 발달 수준은 8살 정도인 ‘석구’(김대명)는 시골 마을에서 정미소를 운영하며 살아간다. 그를 돌봐줄 부모님은 이미 돌아가셨지만, 그리 넓지 않은 마을의 유대관계 안에서 알게 모르게 보살핌을 받는 ‘석구’는 자기 삶의 균형을 잃지 않고 지낸다. 꽤 단단해 보이던 안정감이 깨진 건, 마을 근처 시설에 입소한 가출 소녀 ‘은지’(전채은)의 등장 이후다. 집 떠난 아빠를 찾기 위해 길을 나섰다는 ‘은지’는 나이보다 순수한 ‘석구’와 달콤한 우정을 나누지만, 세간의 눈길은 두 사람의 동행을 위태롭게 바라본다. 큰비가 내리치던 어느 날, 위험한 사고를 당한 ‘은지’를 구하려던 ‘석구’는 예기치 못하게 아동 성폭행 누명을 쓰고 만다. 오해를 하게 된 시설 책임자 ‘김선생’(송윤아)는 ‘석구’를 혹독하게 몰아붙이고, 성당의 ‘노신부’(김의성)는 사건의 진실을 알지 못한 채 일단 ‘석구’를 감싸려 든다. ‘석구’는 이 혼란한 상황을 헤쳐 나와 이전의 안온한 삶을 되찾을 수 있을까. <돌멩이>의 ‘석구’를 연기한 김대명을 만나 그 이야기를 들어본다.


발달장애인 ‘석구’역을 맡아 연기했다. 대사보다는 표정, 몸짓 위주로 표현되는 역할이다. 가장 많이 준비했던 점은.
제작사를 통해 보라매에 있는 시설을 찾았다. 시설 친구들을 20년 동안 돌봐준 선생님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그때 시설 친구들이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만든 영화 DVD를 선물로 받았는데, 투박하기는 하지만 모두 자신들이 글도 쓰고 촬영도 해가면서 만들었더라. 선생님이 도와주지 않았을까 생각했는데 그게 내 편견이었다. 나도 모르게 남아있던 편견을 깨는데 도움을 많이 받았다. 한편으로는 내 안에서도 ‘석구’의 모습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8살의 김대명은 어땠을까. 당시 다니던 초등학교도 가보고 거기서 뛰어놀 때 내 마음은 어땠는지 떠올려봤다. 당시 좋아했던 건 뭐였는지, 친구란 나에게 어떤 존재였는지 생각해봤다. 지금과는 또 다른 느낌이더라.

예컨대 어떤 게 다르던가.
어릴 때는 참 개구쟁이였다. 친구들과 노는 걸 좋아했고 혼자 있으면 심심해했다. 엄마 말을 안 듣기도 하고 땡깡 피우고 울고…(웃음) 생각해 보니 어릴 땐 자기감정을 그렇게 드러내는 게 가능했다. 그런데 지금은 감추게 된다. 슬퍼도 안 슬픈 척, 기뻐도 너무 기쁘지는 않은 척한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석구’처럼 솔직하게 표현하는 연기에 노력이 필요하더라. ‘석구’가 안쓰럽고 힘들어 보인다는 건 그냥 내 착각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자기 마음을 전하는데 가감 없는 캐릭터니까. 그럼, 오히려 내가 힘든 것 아닌가?(웃음) 그런 생각을 하면서 그냥 ‘석구’를 느끼려고 했다.


연출을 맡은 김정식 감독은 <돌멩이> 언론시사회 당시 자신도 ‘석구’같은 가족이 있다고 했다. ‘석구’를 연기하면서 감독과 캐릭터에 대한 깊은 대화를 나눴을 것 같다. 예컨대 ‘석구’가 장터에서 범인을 잡는 신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그 신을 기억해줘서 고맙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석구’가 범인을 잡는다는 건 말이 안 되는 일이다. 멀리 도망가는 범인을 목을 비틀겠나, 팔을 뒤로 잡겠나. 하지만 ‘석구’가 8살 아이라면 나름의 방식이 있을 것 같았다. (손바닥으로 얼굴을 만져서) 그가 범인이라는 걸 확인하고, 도망가지 못하게 (슬쩍 끌어안으며) 그를 잡는 정도일 것이다. 그런 표현이 관객에게 정확하게 전달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다만 내가 아무리 잘 이해하고 표현하려고 노력해도 사실관계가 틀릴 수 있기에 감독님의 의견을 많이 구했다. ‘사실 발달장애인은 이렇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고 바로바로 내 연기를 수정할 수 있기를 바랐다.

가출 소녀 ‘은지’와 순수한 우정을 나누던 ‘석구’는 심각한 누명을 쓰게 된다. 언어로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데 서툰 ‘석구’는 주변의 냉대 속에 상처받고, 끝까지 그 오해를 시원하게 풀어내지는 못한다.
‘석구’는 계속해서 자기표현을 하려고 하지만 사람들은 그걸 안 보려고 한다. 그가 말이라도 잘할 수 있다면 달랐겠지만, 많은 대사가 생략돼 있고 표정이나 행동으로만 표현을 해내야 하니 고민도 많이 되고 답답하더라. 그런데 촬영을 할수록 그 답답함이 쌓여서 오히려 캐릭터가 구축된 것 같다. 연기에서 어떤 단계를 만들어가는 일은 참 괴롭다. 하지만 그만큼 재미도 있다.

시설 책임자 ‘김선생’은 ‘석구’를 강력하게 비판하고, 성당의 ‘노신부’는 ‘석구’를 그저 감싼다. 양쪽 모두 자기 생각에 빠져 어느 순간부터 사건의 진실과 멀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
맞다, 틀리다를 이야기하기보다 다름에 관해 이야기하려는 영화가 아닌가 싶다. 아무리 내가 백 퍼센트 맞다는 생각이 들어도 상대가 아니라고 말하면 한 번쯤은 들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물론 용기와 노력이 필요한 일이지만, 한번 해보면 또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더라. 기회가 돼 극장을 찾고 우리 영화를 선택하게 된다면, 난 저 사람 중 누구와 같을까 생각해보면 어떨까. 같이 본 사람이 있다면 그의 생각은 또 다를 것이다. 그런 점을 이야기 나눠봤으면 좋겠다.


‘은지’역의 정채은 배우와 함께 연기하는 신이 꽤 많은데.
정채은 배우는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었는데 지금은 중학교 3학년이다. 처음 만났을 때는 조금 긴장을 하더니 금세 자기감정을 아주 솔직하게 표현하더라. 나는 대사를 한 번 할 때 오만가지 생각을 다 하는데(웃음) 슬픈 감정을 곧바로 끌어내 연기로 보여주는 걸 보니 굉장히 부러웠다. 저건 나는 할 수 없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도, 고민도 많은 편인 것 같다.
멘탈을 어떻게든 부여잡으려고 노력하는 편인데 그게 참 어렵고 힘들다. 예를 들면 이 작품이 잘 되면 다음번에는 또 어떤 기회가 있을까, 하는 긍정적인 생각보다 이 작품이 잘 안되면 뭐가 문제가 될까, 같은 생각을 더 많이 한다. 말도 행동도 항상 조심한다. 나 때문에 상처받거나 피해 볼 사람들에 대한 생각이 날 부여잡는 것 같다. 그런데 이제는 그런 것들을 생각해야 되는 나이가 맞는 것 같다. 나로 인해 누군가 상처받은 걸 알면 그동안은 모르고 있었더라도 가서 미안하다고 얘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황이 그렇게 됐던 이유도 함께 말이다. 사과의 타이밍이 늦어지면 안 되는 것 같다. 연기할 때도 그렇다. 서로의 감정이 올라와서 표현이 좀 더 세졌다면 촬영이 끝난 뒤 서로 그 이야기하면서 마음을 달래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나이 마흔이 됐고, 그동안 배우로서 경력을 꽤 쌓았다.
언론시사회 이후 기자회견 때 알았다. 내가 바로 MC 옆자리더라. 그전에는 세 번째나 네 번째 자리쯤에 떨어져 앉아있었는데… 이게 주인공인가보다 싶었다. 갑자기 어깨에 무언가가 쌓이기 시작하는 느낌이었다. 선배님들이 이런 길을 걸어오셨구나, 부담감이 컸겠구나 생각했다. 그래서 책임감이 훨씬 커졌다. 나와 함께 작업하는 사람들이 행복할 수 있도록 많이 노력한다.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로 인지도가 무척 높아졌는데.
비슷한 또래의 좋은 친구들이 생겼다는 게 가장 행복하다. 작품 얘기도 하지만, 그 나이에서 할 법한 고민을 나눈다. 내가 뭘 이야기하든 이해해주는 좋은 사람들과 작업할 수 있다는 게 너무 좋더라. <돌멩이> 홍보 영상도 찍어줬는데, 같은 배우로서 그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누구보다 잘 알기에 더 고맙다. 부탁을 잘 못 하는 성격인데 그래도 그 친구들에게는 부탁하고 싶었다.

마지막 질문이다. 요즘 소소하게 기쁜 일이 있다면.
걸어 다니는 걸 좋아한다. 산에 가는 것도 좋고. 그럴 때 생각이 좀 비워진다. 너무 아저씨같네!(웃음)


사진 제공_리틀빅픽처스



2020년 10월 15일 목요일 | 글_박꽃 기자(got.park@movist.com 무비스트)
무비스트 페이스북 (www.facebook.com/imovist)

0 )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