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오락성 7 작품성 9)
블랙 스완 | 2011년 2월 24일 목요일 | 정시우 기자 이메일

<더 레슬러>의 마지막 장면에서 퇴물 레슬러 랜디(미키 루크)는 (죽을 수도 있다는 의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링 위로 몸을 날린다. <블랙 스완>의 니나(나탈리 포트만) 역시 마지막 순간, 완벽에 대한 열망을 품고 허공으로 뛰어내린다.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더 레슬러>와 <블랙 스완>은 데칼코마니 같은 작품이다. 그들은 몸으로 자신을 증명하고, 몸으로 타인에게 말을 걸지만, 그 몸으로 인해 극한의 상황에 내몰린다. 하지만 그것이 자아내는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더 레슬러>의 카운트다운이 끝나고 흘러나오는 브루스 스프링스턴의 ‘The Wrestler’가 심장을 뜨겁게 한다면, <블랙 스완>의 막이 끝나 후 귓가에 울리는 음악은 소름 돋도록 얼얼한 한기를 선사한다.

발레리나의 운명을 타고 난 사람? 과연 존재할까 싶지만, 그녀를 보면 있을 수 있겠다 싶다. 발레가 인생의 목표이자, 이유이자, 사랑인 뉴욕시립발레단의 발레라니 니나. 발레리나 출신인 엄마(바바라 허시)와 함께 사는 니나는 프리마돈나였던 베스(위노나 라이더)를 제치고 ‘백조의 호수’의 백조여왕으로 발탁된다. 하지만 백조로서는 완벽하지만, 도발적인 흑조로는 부족하다는 감독 토마스(뱅상 카셀)의 지적에 불안을 느낀다. 마침 카리스마와 관능미가 넘치는 릴리(밀라 쿠니스)가 입단하자, 니나는 자신의 자리를 빼앗길까 두려움에 휩싸인다. 점점 다가오는 공연. 그에 맞춰 니나의 광기와 질투도 걷잡을 수 없이 커져간다.

이번엔 무대다. <더 레슬러>에서 미키 루크를 링으로 불러들였던,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나탈리 포트만을 발레 무대 위에 세운다. 배경은 달라졌지만, 그것을 해체하고 사용하는 방법은 비슷하다. 대론 아로노프스키라는 이름 안에서 발레를 내 세운 이 영화는 기존 무용 영화들의 문법을 하나씩 지워버린다. 꿈과 현실, 환영이 뒤 섞인 세계를 전착해 온 감독은 <블랙 스완>에서도 주인공을 그 속으로 과감하게 밀어 붙인다. 이 영화가 다양한 장르를 품을 수 있었던 것도 그 이유. <블랙 스완>은 온갖 망상과 자아 분열에 휩싸인 한 예술가의 파멸을 그린 심리 스릴러이자, 순수한 백조가 악마적 흑조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린 공포영화이며, 예술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들춰내는 드라마다. 어느 걸 받아들이든, 어떻게 느끼든, 영화가 전달하려는 에너지는 크게 훼손되지 않는다.

영화는 주인공 내면의 불안과 이를 표면화한 충격적 영상이 서로 충돌하고 공존하면서 그로테스크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를 위해 감독은 거울을 자기분열을 상징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한다. ‘거울 속의 내가 거울 밖의 나를 해칠지도 모른다’고 한 이상의 <거울>처럼, 영화는 거울을 통해 니나의 불안을 확보한다. ‘거울속의 나는 참 나와는 반대지만 꽤 닮은 나’임을 인지해가면서 니나의 행동은 보다 파괴적이고, 보다 본능적으로 변해간다. 현실과 허구가 마구 뒤섞이고, 연극 속 이야기가 고스란히 니나의 삶으로 전이되는 마지막 공연장면은 분명 비현실적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그것이 니나의 상황을 가장 리얼하게 인지하게 하는 현실로 작용한다.

<블랙 스완>에서 나탈리 포트만의 연기는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연출과 절묘한 앙상블을 이룬다. <더 레슬러>에서 미키 루크가 가지고 있는 퇴물 배우라는 이미지를 퇴물 레슬러에게 정확히 대입시켰던 감독은 이번에는 나탈리 포트만이 가지고 있는 모범적이고 여린 이미지를 적극 끌어온다.(니나에게 백조의 자리를 넘겨주는 왕년의 스타 발레리나 베스로 분한 위노나 라이더 역시, 그녀의 실제 모습을 연상케 한다) “너에겐 흑조의 관능적인 즉흥성은 없고 순수하고 나약한 백조만 보인다.”는 토마스의 말은 <레옹>으로 데뷔한 후 별다른 스캔들 없이 순조로운 길을 걷고 있는, 하버드대 출신의 나탈리 포트만에게도 고스란히 적용되는 말이다. 니나의 변신에서 일종의 쾌감을 느낀다면, 이는 나탈리 포트만이라는 배우의 스펙트럼이 확장돼 가는 순간도 목격하게 되기 때문일 게다. 나탈리 포트만의 변신은 니나의 마지막 대사처럼, “퍼펙트 했다”

2011년 2월 24일 목요일 | 글_정시우 기자(무비스트)    




-차이코프스키 음악의 영리한 사용
-나탈리 포트만, 진정한 ‘백조/흑조’로 날아오르다
-완벽함에 대한 집착. 예술인이라면, 한번쯤 그녀처럼 미쳐보고 싶을지도
-대런 아로노프스키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이거슨, 미친 여자 이야기?
4 )
loveyids
오늘 보고 왔음~ 정시우 기자 글 잘쓰신다~ 특히 마지막 주황색 문단! 영화보는 내내 몰입했고 니나처럼 불안하고 답답하고.... 마지막 엔딩 후 크레딧 올라가는 동안 자리에서 떠날 수 없었음   
2011-03-05 21:49
jhongseok
기대된다.. ㅎㅎ   
2011-02-28 12:15
dkstjdtn123
↓ 밑에분 말씀에 저도 동감이요
저두 작품성 10개 올해 최고의 작품입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오락적인 쾌감 역시 10점을 주고 싶네요^^
올해 큰 변수가 없다면 저에게 2011년 최고의 영화는 블랙스완 입니다.   
2011-02-25 23:43
cipul3049
전 작품성 10개. 2010년의 최고영화였습니다.   
2011-02-25 01:28
1

 

1 | 2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