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올드보이
왜 풀어준지가 중요하다 | 2003년 11월 21일 금요일 | 서대원 이메일

복수의 이중주를 그리고 있는 두 남자
복수의 이중주를 그리고 있는 두 남자
“왜 가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왜 풀어준지가 중요하다”

<복수는 나의 것>에 이어 또 다시 곰팡내 날 만큼 오래된, 하지만 여전히 매혹적인, ‘복수’라는 소재를 가지고 돌아온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를 보실 분들이라면 저 위의 문구를 필히 기억해 두셔야 될 것이다. 영화 전체를 지배하는 키워드임은 물론이거니와 자신의 육신을 관장하기 힘들 만큼 억누를 길 없는 숨막힘을 보는 이에게 극단적으로 건네주는 결말과 반전에 다름 아닌 이우진(유지태)의 뼈 있는 내뱉음이기 때문이다.

<파이란>의 강재가 시공간을 넘어 출현한 것마냥 헐렁하기 그지없는 샐러리맨 오대수(최민식)가 쥐도 새도 모르게 사설 감금방에 대관절, 왜, 뭐땀시 15년 동안 주식으로 짬뽕도 아닌 군만두만 삼키며 갇혀 있어야 했는지가 우리가 힘겹지만 건너야 할 산이라면, 왜 하필 15일도, 150일도, 1500일도 아닌 15년이 지난 후에야 그를 가둔 이우진이 오대수를 세상으로 내쳤는지는 산이 우리를 질끈 짓밟고 가는 격이라 할 만큼 <올드보이>의 결말과 반전은 참담하되, 그 비극의 강도는 사뭇 다르다. 철저하게 봉인된 감독의 서신을 수신자만이 뜯어볼 수 있도록 배우는 물론이고 스탭들에게까지 함구령을 내린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올드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주둥이 잘못 놀리면 안 그래도 팍팍한 고단한 인생 완전 작살난다는 일상적 충고다. 다만, 남들이 안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기가 했던 것조차 거스르기를 작심하고 일삼는 박찬욱 감독의 작품이니만큼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불특정 다수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며 일상적 충고를 건넬 리는 만무하다. 가장 보편적인 주제를 가장 안 보편적인 이야기의 구조 안에서 다룸으로써 박찬욱 감독은 우리 안에 잠재돼 있는 아니 꾹꾹 누르고 있는 오래 전 신화집에서나 볼 법한 비극적 서사의 근원적 또는 금지된 욕망의 감정선을 도발하며 거침없이 뒤흔든다.

헌데, 비대중적으로 다가올 거 같은 <올드보이>는 아이러니하게도 <복수는 나의 것>과 달리 무수히 많은 이들과 그것이 논쟁거리가 되든 지지의 표명으로 나타나든 적개심의 표출이든 공명을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상당하다. 두 남자 사이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짓이라고 생각할 수 없는 그네들의 복수의 주고 받음을 자로 잰 듯 치밀하게 묘사하고 있는 영화는, 다음과 같은 영화적 요소들이 힘 있게 자리하면서 생명력 있는 유기체처럼 스크린을 활보하고 있기에 그렇다.

사설 감금방 복도에서 장도리 하나 들고 사투를 벌이고 있는 민식이 형님
사설 감금방 복도에서 장도리 하나 들고 사투를 벌이고 있는 민식이 형님
<올드보이>는 박찬욱의 영화임과 동시에 최민식을 필두로 한 배우들의 영화이기도 하다. 그는 초반의 너절한 월급쟁이에서부터 15년간 감금방에서 유폐된 생활을 하는 갇힌자의 피맺힘, 시골 초가집 지붕스런 헤어로 둔갑한 채 터미네이터적인 이미지로 거리의 불한당과 쌈박질을 하는 파이터, 자신의 인생을 박살내버린 자를 찾아 황량한 내래이션을 읊조리며 운명의 사슬을 하나씩 떨쳐내는 고독한 사내의 모습, 장도리 달랑 하나 들고 십여 명의 패거리와 사투를 벌이는 피말리는 대난투 속에서 엿보이는 고행자의 힘겨움까지.........극단의 극단을 넘나들며 변이되는 몬스터적인 캐릭터를 선보인다. 그 외에도 이우진의 하수인이자 사설 감금방의 사장인 철옹은 흡사 <이상한 나라의 폴>의 버섯돌이와 같은 기이한 인물로 불길하면서도 의문점 가득한 친근감을 드러낸다.

매직아이의 효과를 불러 일으키는 격자무늬의 갖가지 벽지, 극명한 대조를 보이는 이우진의 펜트하우스와 오대수의 감금방, 역동적인 카메라와 남자들의 격한 움직임 속에서도 비애감이 돌출되는 액션 장면, 이런 와중에도 건조한 유머를 구사하는 등 종반부의 그것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장치한 과하다 싶을 만큼의 넘실대는 세련된 스타일 역시 관객의 심신을 포박하는데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영화의 기본적 설정을 동명의 일본 만화에서 따왔듯 일본의 망가와 B급 영화에 정통한 이들이라면 혹자가 얘기하듯 <올드보이>의 결말과 반전이 그리 허걱스럽게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다. 허나, 아직까지도 많은 부분에 걸쳐 금기시되고 닫혀 있는 단선적인 가치관이 곳곳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발 딛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분명 다르다. 오대수와 이우진의 입장이 그다지도 달랐듯 말이다.

*예전에 이런 일이 있었더랬다.
반전이 인상적이었던 브라이언 싱어의 <유주얼 서스펙트>를 보고자 매표소를 시작으로 관객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는 상태......................그런데 신호등으로 인해 버스 한 대가 그 앞 대로에 서게 됐다. 갑자기 맨 뒤의 버스창이 스르륵 열리고 누군가 머리를 길게 쭉 빼고 길게 늘어져 있는 관객들을 향해 소리쳤다.
“범인은 절뚝이다”
그 친구 완전 아작났다 하더라. 하니, 박찬욱 감독의 말마따나 입조심들 하시길 바란다. 혹 아는가, 입 잘못 놀렸다가 오대수처럼 인생을 통째로 복습하며 악행의 자서전을 몇 권에 걸쳐 써내려가야만 하는 불쌍시런 처지에 놓일지.....

5 )
naredfoxx
참... 소개팅하고 나서 보기엔 어려운 영화였음 ㅋㅋㅋ   
2010-01-01 20:16
gaeddorai
못 보겠다..   
2009-02-21 21:43
ejin4rang
만두먹고싶어지는 영화   
2008-10-16 09:33
callyoungsin
정말 스토리도 탄탄하고 잘만든 걸작이다 최고다   
2008-05-22 14:39
ldk209
한국 영화에서 완소가 되어 버린..영화..   
2007-01-22 09:56
1

 

1 | 2 | 3 | 4 | 5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