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딱 홍상수 스타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네 | 2004년 5월 3일 월요일 | 김작가 이메일

다시만난 첫사랑 선화. 과연 그녀는 누구의 미래일까?
다시만난 첫사랑 선화. 과연 그녀는 누구의 미래일까?
먼저 홍상수 감독의 칸느 입성을 축하한다. 그토록 열심을 문을 두드리더니 드디어 해외의 우수한 영화들과 어깨를 나란히 견줄 자리가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필자 개인적으로는 칸느의 그런 선택에 그다지 동의하고 싶지는 않다.

그동안 칸느 언저리를 배회하게 만들었던 홍상수 감독의 전작들에 비해 별반 다른 것도 없을뿐더러 감흥 또한 적기 때문이다. 왠지 뒤끝이 석연치 않은 화장실처럼 어딘가 귀결되지 못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개인적 소견으로 홍상수 감독은 좀더 일찍 칸느에 입성해야 했다고 본다.

홍상수 영화의 특징은 삶의 한 순간을 뚝 떼어놓은 느낌이라는 것. 하지만 별 의미 없이 떼어놓은 삶의 한 부분이었다면 누구도 홍상수에게 지지표를 던지지 않았으리라. 그 의미 없음에 또 다른 의미가 숨겨져 있었던 게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 [오! 수정], [생활의 발견]이었다. 하지만 이번 영화는 좀처럼 그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왜 여자가 남자의 미래라는 것인지. 남녀의 그렇고 그런 만남이 반복될 뿐 여기에 대한 명쾌한 해답은 각자의 몫으로 돌려놓은 듯. 하지만 홍 상수가 루이 아라공의 ‘미래의 시(時)’라는 시(詩)에서 영화의 제목을 떠올렸다고 하니 그 시의 일부를 읽어보면 약간은 그 해답이 보이기도 한다. ....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여자는 남자의 영혼을 장식하는 컬러 물감이다./여자는 남자를 활기 있게 해주는 떠들썩하고,/우렁찬 소리이다./여자가 없으면 남자는 거칠어질 뿐/열매 없는 빈 나뭇가지에 불과하다./여자가 없으면 남자의 입에서는 거친 들 바람이 나오고/그리하여 남자의 인생은 엉망으로 헝클어지고 황폐해져...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참 대책 없는 제목이다. 하긴 뭐 홍 상수의 전작들 치고 어디 범상치 않은 제목이 있었던가? 대부분 영화 제목하면 한마디로 영화를 가장 잘 표현할 단어로 누구 나가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조합을 꿈꾼다. 하지만 유독 홍 상수의 영화는 제목만으로 도대체 이게 무슨 내용인지 어떤 영화일지 짐작할 수 없다. 이처럼 독특한 제목만으로 한 특징을 읽어낼 수 있는 감독이 또 있었던가? 또한 홍 상수의 영화에는 참 애매한 성격의 소유자들이 등장한다. 어떤 난관도 어물쩡 넘어가는 태도, 자신의 생각은 뚜렷이 가지고 있으면서 그걸 쉽사리 드러내지 않고 그렇다고 그걸 완전히 감추지도 않는 인물들. 특히 여자들의 성격이 똑 떨어지는데 반해 남자 캐릭터들의 성격이 더욱 그렇다. 7년 만에 만난 선배 헌준(김태우)과 후배 문호(유지태)의 첫 만남에서 우리는 이들의 성격을 대충 가늠할 수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불만을 슬쩍 던져보다가 상대가 강하게 치고 나오면 금방 언제 그랬냐는 듯 한발 뒤로 물러서는 대화들. 때문에 이들은 서로의 끝말을 자신의 대사 첫마디에 올려놓는 단어 반복의 대화를 나누게 된다. 그동안 그려왔던 반복구조에 이번에는 반복대화까지 첨가해 각기 다른 우리 삶이 얼마나 많은 부분 중첩되는지를 보여준다.

사랑이 떠나는 순간이 바로 새로운 사랑이 시작되는 곳
사랑이 떠나는 순간이 바로 새로운 사랑이 시작되는 곳
전작들이 그렇듯 이 영화도 특별한 줄거리는 없다. 7년 만에 만난 선후배가 각기 다른 기억으로 남아있는 첫사랑 여인 선화(성현아)를 추억하게 되고 결국 그녀를 찾아가 만나게 된다는 얘기다. 두 남자의 한 여자에 대한 추억을 번갈아 보여주는 방식은 한 남자가 두 여자를 만났던 [생활의 발견]의 구조와 별반 다르지 않다. 집에까지 찾아온 선배에게 집에는 들어갈 수 없다며 왔으니 첫눈이나 밟고 가라는 당돌함에 어이없는 웃음을 짓게 하는 순간들. 우리 삶에 존재하는 이런 부조리한 순간들을 꼬집어내는 탁월함이 홍 상수 영화의 매력이자 특징이다. 또한 감독 자신을 형상화 한 듯한 영화감독을 꿈꾸는 헌준이 중국집 아가씨에게 영화배우 할 생각 없냐고 추근 대는 모습이나, 대학 교수인 문호가 모델 할 생각 없냐고 똑같은 방법으로 여자에게 수작을 거는 모습을 통해 지식인들의 속물근성을 비꼬는 통쾌함 또한 홍 상수의 장기이다.

하지만 앞에서도 말했듯이 전작들이 관객 스스로 뭔가 끝맺음을 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면 이 영화는 관객 스스로 끝맺음 할 수 있을 정도로 명쾌하지 못하다. 헌준과 문호가 선화를 다시 만나게 되고 선화와 오직 단둘이 있을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게 된다. 하지만 다음날 아침 문호는 학생들과 함께 어울리게 되고 헌준은 이미 자신만의 첫사랑이 아닌 선화에게 화를 내고 떠나간다. 그리고 이야기는 문호와 학생들에게 옮겨가면서 끝을 맺음으로써 보는 이 스스로 왜 여자가 남자가 미래인지를 파헤쳐 봐야만 그 해답을 알 수 있는 미완으로 끝을 맺는다. 두 남자가 만나 온통 여자이야기를 주고받고 길거리의 여자를 쳐다보고 중국집 종업원에게 추근대는 등 두 남자 사이에 여자를 배치하다 영화는 끝을 맺는다. 만일 앞에 인용한 시(詩)가 없다면 이런 상황만으로 왜 여자가 남자의 미래인지를 납득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한편으로 이 영화는 대부분의 남성들의 기억 속에 자리하고 있는 아련한 첫사랑에 대한 반문이다. 강간을 당하고 돌아왔다는 선화를 데리고 여관으로 가 목욕탕에서 선화의 성기를 집요하게 씻긴 후 ‘나와 섹스를 하면 순결해 지는 거’라고 말하는 헌준의 모습에서 그동안 남성들이 간직해온 첫사랑에 대한 판타지를 완벽하게 무너뜨린다. 그 아련하고 순결한 첫사랑이 사실은 두 번째, 세 번째 사랑이랑 다를 게 뭐가 있더냐 같은 섹스에 같은 감정이 아니었더냐 하고 묻는 식이다. 늘 그렇듯 홍 상수 영화를 통해 배우들의 연기는 한층 성숙된다. 유지태는 어슬렁거리는 팔자걸음만으로 중년의 대학교수인 문호를 실감나게 형상화하고 있으며, 첫사랑처럼 청순한 듯 하면서도 헌준이 유학을 떠나자 문호를 따라가며 그의 집 앞에서 스스럼없이 아무도 없었으면 좋겠다고 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성현아의 연기 또한 안정적이다.

이처럼 이야기 구조와 배우들의 연기 등 홍 상수 스타일의 공식을 그대로 답습한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다만 그 열려진 끝맺음으로 인해 전작들에 비해 확실한 지지를 표할 수 없을 따름이다.

4 )
loop1434
별로   
2010-07-04 15:14
ejin4rang
남자도 여자의 미래다   
2008-10-15 16:54
callyoungsin
재미없고 지루했다는...ㅎㄷㄷ   
2008-05-16 15:42
qsay11tem
은근히 볼만해요   
2007-11-23 14:33
1

 

1 | 2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