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캐릭터는 영화의 출발이자 완결, 그리고 메시지 <유령> 이해영 감독
2023년 2월 7일 화요일 | 박은영 기자 이메일

[무비스트=박은영 기자]

‘이 선생’이라는 미스터리 인물로 긴장감을 한층 끌어올렸던 범죄 스릴러 <독전>에 이어, 이해영 감독이 또 한편의 캐릭터 무비 <유령>을 선보인다. 감독은 이번이야 말로 진정한 ‘캐릭터’ 무비라 할 만하다고 자평한다. 영화의 메시지가 무엇인지, 감독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답을 캐릭터를 통해 드러낸 까닭이다. <유령>을 작업하며 캐릭터의 충실한 구축을 넘어 배우의 멋짐을 표현하고 싶은 마음이 더욱더 커졌다는 감독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유령>이 궁극적으로 캐릭터 무비로 다가갔으면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캐릭터 무비의 매력 혹은 선호하는 이유는 뭘까.
시나리오 단계부터 촬영 그리고 후반 작업까지, 결국 영화에서 표현하고 싶은 모든 걸 배우를 통해 실현한다는 생각이다. 한마디로 캐릭터는 이야기에 접근하는 통로이자, 내 의도를 담는 그릇과 같다. <독전>도 그렇지만, 이번 <유령>이야말로 ‘지금 뭘 하는 거지? 무슨 얘길 하고 싶은 거야?’ 라는 질문에 답하는 건 인물 그 자체다. 이번에 배우들과 같이 무대인사 등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매 작품마다 배우 복이 크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분에 넘치는 훌륭한 배우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 돌이켜 보면 어느 순간부터 이런 배우의 멋짐을 담아내는 것이 <유령>의 목적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소담 배우에게 ‘한 번 미쳐 날뛰어 보자’고 제안했다고.
처음 소담 배우를 만난 건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2015) 때다. 당시 대학 졸업 직후로 현장에서 눈에 확 들어왔었다. 중저음의 낮은 보이스와 앳된 얼굴의 조합, 그러니까 어려 보이는 외모 안에 묵직하고 진중한 분위기가 매력적이었다. <경성학교>에서는 이런 저음과 묵직한 이미지를 십분 활용했다면, <유령>의 시나리오를 쓰면서는 거꾸로 옥타브를 몇 단계 끌어올려서 처음부터 끝까지 뛰게 만들고 싶었다. 이로써 그의 내면에 응축된 에너지를 폭발시킨다면 흥미로운 작품이 나올 것 같았다. 그래서 전화해서 ‘이번에는 한 번 미쳐 보자’고 했다. 그간 <기생충>을 비롯해 엄청난 감독과 작품에 참여한 소담 배우를 팬으로 지켜보며 참 기뻤었다. 다시 만나 보니 훨씬 능수능란해졌고 많이 성숙한, 진짜 멋진 배우가 됐더라. 마치 (내가) 그의 발아래 작은 받침대를 마련해 주니 이를 밟고 확 뛰어오르는 느낌이었다.

문득 극 중 ‘유리코’(박소담)가 순식간에 테이블로 뛰어올라 펼친 고난도 액션이 떠오른다. 엄청나더라. (웃음) 설마 직접 소화한 건가?
난이도가 높은 장면이라 당연히 대역은 있었지만, 기본적인 액션은 실제로 소화해 냈다. 배우의 동작을 최대한 영화적인 리듬으로 다이나믹하게 담기 위해 노력한 장면이다. 빠듯한 시간 내에 컷 바이 컷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찍고자 무술 감독과 사전에 많이 상의했던 씬이다.

서사의 시작과 중추는 ‘박차경’(이하늬)이라는 인물인데, 시나리오 단계부터 이하늬 배우를 염두에 두고 썼다고.
이야기의 출발이 박차경이었고, 이하늬 배우라면 가능하겠다는 생각에 아예 (그를) 떠올리면서 시나리오를 썼다. 오랫동안 팬으로 하늬 배우를 지켜보며 그는 배우로서 또 한 인간으로서 똑같이 좋은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았고, 이러한 점이 독보적으로 매력있게 다가왔다. 평소 에너지 넘치는 밝은 캐릭터를 주로 해온 하늬 배우가 이런 에너지를 내면에 품은 인물이라면 새롭겠더라. 역시나 작업해 보니 뜨거운 에너지를 단전 어딘가에 농축해 놨다가 조금씩 녹여낸다고 할지, 어떤 한순간도 기능적으로 한 연기가 없었다. 모든 연기에 진심이 서려 있더라. 또 박차경 캐릭터의 관건은 단단한 코어라 이에 관해 하늬 배우와 이야기를 사전에 많이 했고, 씬마다 컷마다 상의하며 찍었다.

마이지아의 소설 ‘풍성’이 원작이다. 재창작이라 할 정도로 원작에서 변주한 부분이 많은데 시대적 배경을 그대로 ‘일제강점기’로 삼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원작 역시 (중국의) 항일운동가가 주요 인물들이다. 일제 강점기는 자기를 희생할 정도로 큰 대의를 지닌 인물이 활동할 시기라 배경과 설정은 그대로 가져왔다. 구국이라는 컨셉과 시대적 배경을 바꾸면 캐릭터의 감정 깊이와 그 크기가 달라지겠더라.

항일 스파이 유령으로 의심받는 사람들과 이들을 한 자리에 불러 모은 경호대장 ‘카이토’(박해수). 이들 인물들 간에 오가는 의심과 대립이 스릴을 쌓아가는데 캐릭터별 키워드를 짚는다면. 좀 어려운 질문인가. (웃음)
마치 홍보 전략 회의를 거쳐 뽑아낼 정도? (웃음) 어렵지만, 좀 정리해 보자. 박차경은 ‘담대함’이다. 하늬 배우에게도 큰 사람이어야 한다고, 큰 사람으로 있어 달라고 제안했다. ‘카이토’가 압박을 가해도, ’쥰지’(설경구)와 대립할 때도 어떤 미동도 하지 말고 쫄지말라고 했었다. 다른 캐릭터를 품어주는 경우에는 사사로워 보이지 않도록 신경 썼다. 설경구 선배가 연기한 쥰지는 ‘혼란’이다. 태생적으로 끊임없이 혼란을 겪는 인물이다. 박차경을 따라가면 내가 하고자 한 이야기의 큰 축을, 쥰지를 따라가면 내가 의도한 메시지에 닿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혼란으로 시작해 쥰지의 마지막에 다다르면 비로소 ‘아 이런 이야길 하고 싶었군!’ 하고 느끼지 않을까 한다. 추리를 배제하고 스파이 유령을 따라가는 이야기로 원작을 해체하면서 ‘쥰지’ 캐릭터의 무게감 때문에 본능적으로 그를 의식 혹은 의심할 거로 예상했다. 그를 쫓다 보면 메시지에 닿게 되고 이를 (경구) 선배의 엄청난 연기로 마주하며 놀라운 순간을 맞겠다고 생각했다.

카이토와 유리코, 그리고 ‘천 계장’(서현우)은 어떤가. 유령 용의선상에서 벗어나 보이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카이토의 키워드, 즉 유령을 잡겠다는 거대한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끓어오르고 질주하게 만드는 원동력은 질투 혹은 열등감이다. 유리코는 깨질 듯한 위태로움을 꼽을 수 있겠다. 스스로를 위태롭게 만드는 언행으로 매 순간 ‘왜 저렇지’라는 생각으로 보다 보면 어떤 뜻밖의 순간에 닿게 될 거다. 천 계장은 소확행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엄혹한 시대에도 조국이라는 대의보다 자기 행복이 더 큰 가치인 평범한 사람도 있었을 터다. 어떤 사상이나 주의를 가진 사람이 아닌, 소소한 행복이 중요한 사람을 그리려 했다.

박해수 배우는 모든 대사를 일본어로 소화해 냈다. 정말 대단하다는 감탄밖에…원래는 일본인 배우를 캐스팅할 계획이었다고.
<유령>을 작업하면서 제일 힘들고 막막한 때였다. 당시 팬데믹의 심화로 모든 국가가 봉쇄하고 국가 간에 교류하는 것 역시 어려웠었다. 한일 관계가 악화된 데다 한일 간의 무비자 협정이 없어져서 3개월 이상 비즈니스 비자를 내주지 않던 때다. 크랭크인이 불과 3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캐스팅한 일본인 배우가 건강 악화 등의 여러 이유로 출국하지 못해 그야말로 패닉이었다. 이미 배우들 스케줄은 확정됐고, 세트도 다 지었는데…

외국어 소화의 두려움과 분량의 압박을 이겨낼 배우가 누굴지 고민하다가 박해수 배우를 떠올렸다. 그의 전작에서 본 에너지와 연기력이면 가능하겠더라. 마침 성실하다는 소문도 들었고! (웃음) 직접 만나니 시나리오가 너무 재미있어서 하고 싶은데 일본어 대사가 너무 많다고, 민폐를 끼칠 것 같아 거절하려고 나왔다는 거다. 하지만, 얼굴은 이미 열망과 열정이 부글부글 끓고 있어 보였다! 이를 보고 ‘하자고!’ 톡 찌르니 ‘사실은 너무 하고 싶었다’고 털어놓더라. 첫 만남에서부터 그에게 입덕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어 대사의 자막을 보느라고 그의 표정을 놓칠 수 있는데 잘 보면 정말 매컷마다 혐오, 욕망, 갈망 등의 감정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 진짜 밀도가 높은 연기를 보여줬다. 촬영장에서 나도 모르게 ‘방금 당신 얼굴에 우주가 지나갔어!’ 이랬으니 배우의 부담감이 얼마나 심했을까! 후시 녹음 때도 한 음절 한 음절 진을 빼고, 즙을 짜는 듯이 임해서 5일 동안 2kg이나 빠졌다고 나중에 들었다.

박차경과 쥰지가 맞붙는 두 번의 시퀀스는 정말 박력있다. 이하늬 배우의 힘 실린 액션이 대단하더라.
하늬 배우는 역도산인 설경구 선배를 상대하는 게 숙제였다지만, 현장에서 본 그는 마치 마동석 같았다. 오죽하면 경구 선배를 걱정했을 정도였다고 말했겠나! 두 분에게 어떤 순간에도 성별이 느껴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남녀가 아닌 사람과 사람이 동물적으로 붙는 느낌이 들면 좋겠다고 요청드렸다. 기세와 감정이 충돌하면 좋겠다는 큰 그림 아래 다른 액션 장면은 영화적으로 쪼개서 영화적인 리듬으로 접근했다면, 두 분의 장면은 길게 가져갔다. 배우들이 몸싸움하는 걸 카메라가 따라가면서 담았고, 이는 대역이 거의 없었다는 말이다. 동선만 사전에 대략 맞추고 들어갔고, 실전은 배우에게 일임했다.

마지막 질문이다. 이해영은 어떤 사람인가.
<유령>을 보고 ‘이해영이 이해영했다’라고 하는데 사실 어느 부분에서 그런지 잘 모르겠다. 내가 느끼는 나는 ‘감각으로 세상을 읽는 사람’? 그런데 이건 내가 들어도 좀 재수 없어 보이니, 아주 성실한 사람 그리고 부단히 노력하는 사람으로 하자! (웃음)


사진제공. CJ ENM

2023년 2월 7일 화요일 | 글_박은영 기자 (eunyoung.park@movist.com 무비스트)
무비스트 페이스북(www.facebook.com/imovist)

0 )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