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영화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이다. 이 영화의 감독, 소피아 코폴라의 전작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Lost in Translation)'에서도 동일했다.
 핑크색과 화려한 의상과 딸기와 달콤함으로 버무려진 케익들 속에서도,이 영화에는 '공허함'이 존재한다.
 '마리 앙투아네트'. 그녀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뜻대로 이루어진 결혼생활은 아니지만, 정치적 입장으로 점철되어진 그녀의 삶은 그래도 우리가 보기에는 그나마 살만하다. 이 영화에는 꽉 짜인 스토리나 중심을 관통하는 내용은 없다.그래서, 관객들이 빵이 부족한 민중에게 그녀가 했다고 한 말 "그러면 케이크를 먹으라고 해~"라든가,
 민중들에게 처형당하는 '마리 앙투아네트'를 기대했다면 이 영화는 그 기대에서 크게 벗어난 영화이다.
 소피아 코폴라 감독은 '마리 앙투아네트'를 조명한게 아니라, 다만 그녀를 소재로 해서 다양한 향락과 인간관계속에서의 '공허함'을 보여준 듯 하다.
 마치 그녀도 우리인 것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