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현실, 사랑과 증오의 합일에 이르는 길.... ★★★☆
일본어를 사용하는 남자 진(오다기리 조)은 교통사고를 내고 뺑소니를 치는 꿈을 꾼다. 너무도 생생한 꿈 때문에 꿈속의 현장에 가보니 실제 교통사고가 나 있었고, 란(이나영)이라는 여성이 뺑소니 혐의로 잡혀 간다. 진이 꿈을 꾸면 란은 몽유 상태로 꿈을 현실에서 똑같이 실행한다. 여의사(장미희)는 본래 두 명은 한 몸이고, 한 명이 행복해지면, 다른 한 명은 불행해진다며,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둘의 사랑(합일)을 권유한다. 진은 헤어진 여자친구를 여전히 사랑하지만, 란은 헤어진 남자친구를 증오한다. 꿈을 꾸지 않으려 노력하는 진의 노력을 배반이라도 하듯 그의 꿈은 점점 강도가 높아져 간다. 키스, 애무, 섹스, 그리고...
김기덕 감독의 신작 <비몽>엔 하나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 스토리가 아닌 여러 가지의 상징들이 동원되고 있다. 그 주제란 상반된 것, 적대적인 것, 반대의 것이 하나로 합쳐지는 합일의 경지에 이르는 길이다. 두 극단에는 우선 꿈과 현실이 있다. 한 명의 꿈이 한 명에겐 현실이 되고, 꿈과 현실은 하나가 되어 간다. 영화에선 현실은 정상적인 영상으로 꿈은 질질 끌리는 듯한 영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어쩌면 그 반대일지도 모른다. 이건 꿈과 현실의 혼동이 아니다. 꿈은 꿈이고, 현실은 현실이지만, 그 둘이 하나가 됨을 의미한다.
사랑과 증오. 과거의 연인에 대해 한 명은 사랑하고 한 명은 증오한다. 그러나 란은 생각만으로도 몸서리가 처질 정도로 증오하는 남자를 꿈을 빙자해 찾아가곤 한다. 그건 미련일까? 후반부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 깊은 ‘네 명이 갈대밭에서 벌이는 퍼포먼스’를 통해 진의 사랑도 사랑이라기보다는 정신병적 집착에 가깝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영화는 사랑, 집착, 증오, 미련이라는 감정은 칼로 무를 베듯 구분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라고 말한다. 사랑과 증오, 집착과 미련은 결국 하나다.
꿈과 현실, 사랑과 증오의 합일이라는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김기덕 감독은 여러 상반된 이미지들을 동원한다. 우선 흑백과 청홍이라는 색감으로 표현된 이미지들. 영화 내내 진은 검정색 옷을 입고 나오고, 란은 하얀색 옷을 입고 나온다. 그리고 이 둘의 관계를 밝혀주는 여의사는 흑과 백의 옷을 번갈아 입음으로서 이 둘을 중재하고, 소통시키고, 합일시키는 일종의 신적 존재임을 드러낸다. 청색으로 표현되는 진의 잠자리와 작업장, 홍색으로 표현되는 란의 작업장. 초반 둘의 대화 장면에서 진이 말할 때 홍색 천이 란을 가리고, 란이 말할 때 청색 천이 진을 가리는 것도 색감으로 표현되는 대표적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청홍의 단청으로 곱게 물들어 있는 사찰의 색감까지. 흑은 백이요, 백인 흑이다. 청은 홍이요, 홍은 청이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도 이런 차원에서 의미를 둘 수 있을 것 같다. 사실 영화의 내용은 굳이 한국을 배경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그런데 김기덕 감독은 존재하지 않는 기와집 경찰서(실제는 파출소에 가깝지만)까지 등장시켜가면서 모든 건물과 배경에 한국의 전통을 그려 넣었다. 난 이것이 어쩌면 국제영화제용 배려(?)가 아닐까 한다. 김기덕 감독 영화 중 외국에서 가장 큰 흥행을 올린 작품이 동양적 이미지들로 충만한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봄>이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비몽>에 등장한 한옥은 전통을 표현하고 있지만 그 안에는 현대가 같이 숨 쉬고 있다. 현대적 느낌의 손 모양이 달려 있는 손잡이, 터치하면 열리는 경찰서의 문, 아파트 현관에서나 어울릴 듯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문, 자동문 등 영화의 한옥문은 모두가 현대를 품에 안고 있다. 현대의 이미지가 대부분 한옥의 문에 집중하고 있다는 건 ‘문을 연다’라는 행위에 대한 의미가 숨어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어쩌면 한국어와 일본어가 아무런 통역 과정 없이 소통하는 것도 이 영화의 주제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식이라고 이해된다.
그런데 그러한 상반된 것들, 꿈과 현실, 사랑과 증오가 합일되는 과정은 매우 고통스럽고 참혹한 아픔을 동반한다. 잠을 자지 않기 위한 둘의 노력(주로는 진)은 일반적인 상상을 뛰어 넘는다. 초반 거의 애교에 가깝게 손을 이용, 억지로 눈을 뜨게 하는 정도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강도는 높아져만 간다. 영화엔 점점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죽음만이 둘을 운명에서 해방시켜 줄 것이며, 꿈과 현실, 사랑과 증오가 합일되는 경지는 죽음으로서만이 가능하다. 이것은 둘이 편안히 잠들 수 있는 것, 즉 죽음만이 둘의 사랑을 가능하게 한다는 지독한 로맨스로 읽히는 지점이다.
※ 영화의 초반, 진은 나무에 한자를 새긴다. 비몽(非夢) - 꿈이 아니다. 진은 非 밑에 마음 심(心)을 마지막에 새김으로서 비몽(悲夢) - 슬픈 꿈이라는 글자를 완성한다. 이 영화는 과연 꿈이 아닌 것일까? 또는 슬픈 꿈인 것일까?
※ 개인적으로 그다지 김기덕 감독 작품을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섬> 이후 가급적 김기덕 감독 작품의 관람을 기피해왔다. 왜냐면 너무나 잔인하기 때문이다. 공포 영화를 즐겨보지만, 그건 처음부터 잔인한 장면을 기대하고 보는 것이라 느낌이 확연히 다르다. 난 공포영화보다 김기덕 감독 영화가 더 잔인하다고 생각한다. <비몽>에서의 몇 장면도 눈이 살짝 감겨질 만큼 잔인하게 표현되어 있다. 미리 알고 가지 않으면 정말 놀랄 수 있다. 실제 객석에서도 일부 여성들의 괴로운 신음소리가 흘러나오기도 했다. 김기덕 감독 작품이 잔인하게 느껴지는 건 우리가 실제로 경험해봤거나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아픔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점점 추상적으로 되어가는 김기덕 감독 작품에서 잔인함은 너무도 현실적이다. 그래서 나에겐 여전히 김기덕 감독 작품이 꺼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