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조정된 시간(1974, Phased Time)

이미지 더보기
  • 배우
  • 미상
  • 장르
  • 미상
  • 등급
  • 미상
  • 시간
  • 미상
  • 개봉
  • 미상
  • 재개봉
  • 미상
  • 전문가영화평




 Phased Time²는 여섯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그 각각은 100피트 롤로부터 나왔다. 부분들 간의 흑색 간극의 연결을 제외한 모든 작업은 카메라 안에서 이루어졌다. 첫 번째를 별도로 하더라도, 각 섹션은 논리적 주기적 공정에 의해 구분된다. 각 부분(테이크)은 픽스 쇼트이다. 연속적인 테이크마다, 카메라는 프레임의 반 정도 넓이로 미리 패닝을 한다. 그 결과, 카메라는 영화 내내 방 안을 정적으로 패닝할 수 있다. 또한 각 연속적인 테이크는 부분적으로 이전의 장면들과 겹쳐지고(각 테이크 되감기에 의해서), 따라서 반프레임의 움직임을 드러낸다. 첫 번째 섹션은 전체 프레임이 노출된 단일한 연속 테이트이다. 두 번째 섹션은 상변화된 구분이고 각 프레임에게 있어서 전체 프레임이 노출되었다. 세 번째 섹션은, 프레임의 반정도 넓이로 테두리를 친 테이크이며, 네 번째 섹션은 프레임의 1/4 크기로 테두리를 치고 주기를 두 번 더 주는 것이다. 예컨대 전체 프레임을 한번 통과하면 1/4, 반, 3/4, 반, 1/4, 다시 전체로. 다섯 번째 섹션에서는, 같은 공정이 이번엔 1/8 매트를 가지고 되풀이되는데, 이번엔 오직 하나의 주기만을 가지고 되풀이된다. 여섯 번째, 즉 마지막 섹션에서는 전체 프레임으로부터 검은 프레임으로 1/16 매트가 진행된다. 두 번째 섹션(첫번째로 여러개의 테이크들이 나오는)에선 180도의 완전한 패닝(10mm 렌즈)을 완성하기 위해서 필연적인 반프레임들의 숫자에 의해 그 테이크의 구분선들의 숫자가 결정된다. 섹션은 점차적으로 (그 매트의 주기에 따라) 그것들의 숫자를 증가시켜가는데, 그것은 16개 테이크들 내 섹션 가운데 동시적으로 오버랩된 모든 테이크들로 360도 패닝을 완성하는 순간까지 계속된다. 패닝의 페이스는 매팅 공정과 프레임의 분할량에 따라서 가속화되거나 감속화된다. 사운드는 영상과 함께 상변화하거나 겹쳐지는데, 그것은 신서사이저와 전자오르간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총 0명 참여)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