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누적될 시간이 나의 힘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 신동민 감독
2021년 11월 2일 화요일 | 박꽃 기자 이메일

[무비스트=박꽃 기자]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는 신동민 감독의 단편 세 편을 시간순서와 상관없이 엮어 만든 장편이다. 주인공은 그의 어머니 ‘혜경’이다. 이 역할은 감독의 어머니 김혜경 씨와 노윤정 배우가 번갈아 가며 연기한다. 실제 인물과 허구적 연출이 덧대어지고, 시간 순서가 뒤섞이는 의도된 혼재 안에서 또렷이 드러나는 건 어머니를 바라보는 아들의 어떤 시선이다. 다만 이 시선은 처음부터 확고하거나 완성돼있던 건 아니다. 세 편의 단편을 찍는 동안 몇 년의 시간이 흘렀고, 그것을 한데 모으는 데까지 일부의 시간이 더 흘렀다. 이런 과정 덕에 완성작을 개봉할 수 있게 된 신동민 감독은 앞으로 누적될 시간의 힘 또한 가늠하게 됐다. “10년 동안 찍을 수는 있지만 그 10년을 돈으로 살 수는 없을 것”이기에,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에서 그랬던 것처럼 과한 욕심은 접어두고 오롯이 감당할 수 있을 만한 규모의 ‘자기 이야기’에 시간을 투자할 거라고 말한다.

세 편의 단편을 시간순서와 상관없이 엮어서 장편을 만들었다. 이 작업의 계기는.
용인대학교 지도교수였던 장건재 감독님이 이 작품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아주셨다. 시간 순서를 섞어서 영화적인 화학작용을 만들어내는 게 좋겠다는 조언을 주셨다. 순서상으로는 가장 처음 찍은 게 2부의 ‘태평 산부인과’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영화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만 했을 때다. 그다음에 1부 ‘군산행’과 3부 ‘희망을 찾아서’를 촬영했다. 장편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에서는 1부와 2부의 시간상 순서가 바뀐 것이다.

1부 ‘군산행’에서 엄마 ‘혜경’역을 당신의 어머니 김혜경이 직접 연기했는데, 2부 ‘태평 산부인과’에서는 같은 역할이 배우 노윤정으로 바뀐다. 3부에서는 두 사람이 다시 새로운 관계로 만나는데. 관객이 혼란스러울 것이라는 우려는 없었나.
나는 세 편을 따로 찍었다 보니 당시에는 내용을 헷갈릴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는데 장편을 보고 난 어떤 관객이 아버지가 결혼을 세 번 한 거냐고 물으시더라.(웃음) 사실 관객이 내용을 헷갈려도 크게 상관은 없다고 생각했다. 이 영화가 서사를 위해 달려가는 게 아니라 ‘시간’을 담기 위해 촬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시간 안에서도 어머니와 아들이라는 관계와 역할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관객이 영화를 이해하고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는 데는 문제가 없으리라고 생각했다. 김혜경과 노윤정의 모습은 데칼코마니일 수도 있고, 너르게 펼쳐져 있는 (한 사람의) 다양한 모습일 수도 있다.

 노윤정
노윤정
그 덕에 자칫 평범하게만 보일 수 있는 어머니와 아들의 관계가 보다 입체적으로 조명된다. 노윤정 배우의 생각은 어땠나. 자신이 먼저 연기했던 ‘혜경’을 당신의 친어머니가 이어서 연기했고, 본인은 전혀 새로운 역할로 다시 출연하는 입장이었는데.
엄마와 내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각자의 대역을 세워보니 영화감독이 모든 걸 (원하는 대로) 창조할 수는 없다는 걸 깨달았다. 실제 사람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데 한계를 느꼈고, 영화라는 게 그런 게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됐다. 1부 ‘군산행’을 찍고 2부 ‘태평산부인과’에서 연기한 노윤정 선생님께 전화를 했다. 3부에서 이전의 엄마였던 당신과 지금의 실제 엄마를 만나게 하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에 연락을 드렸다고 말이다. 그러면서 1부 ‘군산행’을 볼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렸는데, 보고 나서 ‘반성을 많이 했다’는 식으로 말씀을 하셨다. (비전문 배우인) 엄마가 연기를 너무 잘했고, 자기도 그렇게 하고 싶으니 서비스 차원에서 3부는 (출연료 없이) 그냥 촬영하겠다고 하셨다.

1부 ‘군산행’의 ‘혜경’은 덤덤하지만 2부 ‘태평 산부인과’의 ‘혜경’은 남편에게 미련이 남은 모습이다. 관객은 뒤늦게 두 사람이 같은 인물이라는 걸 알게 되지만 두 배우가 뿜어내는 분위기와 정서는 사뭇 다르다.
1부 ‘군산행’의 어머니 김혜경은 맥주도 마시고 하고 싶은 말도 하면서 좀 편안해 보인다. 아련하기는 해도 눈물이 흐르지는 않는다. 2부 ‘태평 산부인과’의 어머니 노윤정은 너무나 큰 실연에 빠진 것처럼 불쌍하게 나왔더라.(웃음) 한이 차 있고 지금이라도 눈물을 흘릴 것 같다. 사실 2부 ‘태평 산부인과’를 연출할 때에는 엄마 역할의 감정을 폭발적으로 드러내고 싶지는 않았다. 찍고 나니 알겠더라. 내가 연출하고자 하는 것과 배우가 가진 힘을 잘 조율하고 맞춰가면서 촬영해야 한다는 걸. 그땐 잘 몰랐다. 다만 그런 모습 또한 엄마 인생의 일부분이었을 거라는 생각은 든다. 내가 없는 곳에서는 크게 울었을 수도 있고, (감정이) 격해졌던 시간도 있을 테니까.

본인을 연기한 김혜경의 연기는 마치 40년 넘은 베테랑 배우만큼이나 대단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자기만의 리듬에 어울리는 표정, 대사, 호흡으로 자연스러운 깊이를 보여주더라.
처음에는 그냥 술 먹는 걸 찍겠다고 했다. 그게 엄마의 솔직한 모습 중 하나라서.(웃음) 촬영을 들어가고 나서도 정작 나는 ‘연기가 좋다’는 걸 느낄 새가 없었다. 현장이 너무 바빴다. 요즘 들어서야 다른 영화에서는 볼 수 없는 연기라는 생각이 든다. 마음을 꾹꾹 눌러 담은 것 같다. 3부 ‘희망을 찾아서’에서 카센터에서 일하는 삼촌 역할도 실제 삼촌이 맡아주셨는데, 두 분이 대화하는 장면을 볼 때면 내가 가치 있는 장면을 담았구나 싶다.

어머니 김혜경은 연기라는 걸 처음 해보셨다고 하는데, 카메라 앞에서 떨지 않으셨나.
첫 장면에서는 떠셨다. 그런데 찍을수록 고민도 사라졌던 것 같다. 엄마 ‘혜경’이 짝짝이 양말을 신고 아들 ‘동민’과 같이 앉아있던 장면이 첫 촬영이었는데 집에 돌아오는 길 바둑을 두고 있던 동네 할아버지들이 자기들도 찍어 달라고 하시더라. 바둑 두시는 옆에 엄마가 앉아있고 할아버지 중 한 분이 키우시는 강아지를 무릎 위에 안고서 인서트 컷을 찍었었다. 영화에는 쓰지 않았지만 그 후로 엄마가 그러시더라. ‘저 사람들도 하는데 내가 떨게 뭐 있냐’면서 마음을 편하게 먹었다고.(웃음)

 김혜경 (왼쪽)
김혜경 (왼쪽)

어머니가 직접 노래방에서 부르는 정훈희의 ‘안개’는 어떤 삶의 쓸쓸함과 덧없음을 느끼게 해주는 상징적인 곡처럼 느껴졌다. 지난달 언론시사회에서 “내 모든 인생을 사실적으로 담고 있는 영화에서 연기를 하다 보니 (진짜) 감정이 생겨나더라”고 소감을 전하시기도 했다.
1부 ‘군산행’에서 부른 ‘안개’는 엄마가 실제로 노래방에서 일하실 때 내게 불러준 노래다. 좀 다른 효과를 주는 노래로 바꿀 수도 있었지만 엄마의 취향이나 그 노래를 내게 불러주던 순간, 그 시간을 담는 게 더 좋을 것 같았다. 좋아했던 노래를 부르는 게 엄마 마음도 제일 편할 것 같았고. 2부 ‘태평 산부인과’에서 노윤정 배우가 부른 ‘님은 먼 곳에’ 역시 엄마가 불렀던 노래다. 실제로 “여기 태평 산부인과 앞이다, 빨리 와라, 나 집에 못 가겠다”면서 내게 연락을 해왔던 그 날 바에서 불러주셨다.

노래방에서 화재경보기를 설치한 뒤 어머니가 피운 담배로 경보음이 울린다. 그 시점이 관객이 잘 웃는 대목이고, 그들이 웃을 때 영화로 소통하고 있다는 걸 느꼈다고 했다.
사실 나는 그게 웃긴 장면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그런데 학교에서 처음 시사를 할 때 다들 거기서 웃어주더라. 그때 처음으로 관객이 나와 같은 작품을 보면서 이렇게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지난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도 호응이 생각보다 좋았다. 엄마가 군대 간 동생에게 편지를 쓰라며 큰아들 ‘동민’(신정웅)에게 내용을 불러주는데, 카메라가 편지를 비추고 연이어 엄마 얼굴을 비추자 엄마는 어느새 잠들어 있다. 그 장면도 보고 많이 웃으시더라.


촬영 당시 실제 동생이 군대에 가 있었나.
7살 어린 동생이 있는데 그때 말썽을 좀 피웠다. 실제로 군대에 가 있지는 않았고, 군대에 보내고 싶다는 생각이 있어서 영화에서 보내버렸다.(웃음)

가족에 대한 여러 가지 마음이 복합적으로 담긴 작품인 것 같다.(웃음)
마음가짐이 때때마다 조금씩 달랐다. 처음 2부 ‘태평산부인과’를 찍을 때는 영화라는 걸 찍어보겠다는 마음이었고, 1부 ‘군산행’에서는 어머니를 어떻게 하면 잘 담아낼 수 있을지 고민했다. 어머니와 아들의 역할만 이용해서 관습적으로 영화를 찍는 게 아닐까 싶은 마음이 들어서 내 존재는 좀 지우려고 했다. 3부에서는 ‘동민’의 존재를 아예 빼봤다. 대신 어머니 주위에 있는 사람을 담기로 했다. 예를 들어 삼촌 경우인데, 실제로 러시아 분과 결혼해 기러기 아빠 생활을 하신다. 그 모습이 과거 내 아빠의 모습 아니었을까 싶었다. 삼촌이 자기 쌍둥이 자식들을 보고 싶어 하듯 아빠도 나를 보고 싶어 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2019년 2월 아빠가 돌아가셨고 그제야 세 편의 단편으로 뭔가를 해야겠다는 결심이 생겼다.


세 편의 단편 외에 추가적인 촬영은 없었나.
영화 뒷부분에 캠코더 영상이 나온다. 1부 ‘군산행’에서 엄마가 만지작거리던 바로 그 캠코더에서 찾은 풋티지 영상이다. 아빠가 돌아가신 뒤 무슨 영상이 들어있을지 궁금해져서 현상을 맡겼는데, 아빠가 내 어린 시절을 찍어주셨던 기록이더라.

다음 작업이 궁금해진다.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될까.
장건재 감독님의 <잠 못 드는 밤>(2012)이나 혹은 그보다 더 작은 규모의 작품을 하고 싶다. 지금 상태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건 나 혼자 일할 수 있는 정도의 규모라고 생각한다. 그 이상 욕심을 내면 망가지는 게 많을 것 같다. 그러다 보니 (누군가 기획한 작품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내 이야기가 들어갈 수밖에 없고, 그러면 당연히 어머니 이야기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물론 당장 다음 작업을 꼭 어머니와 같이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다. 다만 어떤 작업을 하든 중간중간 그와 촬영하는 시간은 계속될 것 같다. 영화를 찍으려면 돈이 필요하지만 돈으로 할 수 없는 것도 있지 않나. 바로 시간이다. 내가 어머니를 10년 동안 찍을 수는 있지만 그 10년을 돈으로 살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건 내 작업에 시간을 투자하자는 거다.


마지막 질문이다. 최근 소소한 행복은.
엄마가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걸 좋아하신다. 언론시사회에서 “영화를 보니까 어떻냐”는 질문에 대답하거나 ‘아, 이게 내 영화구나’ 하시면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때 좀 행복해 보이신다. 덕분에 나도 그때 조금 안도한다.

사진 제공_(주)모쿠슈라


2021년 11월 2일 화요일 | 글_박꽃 기자(got.park@movist.com 무비스트)
무비스트 페이스북(www.facebook.com/imovist)

0 )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