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세에 영웅이 나고,  영웅은 그 운명의 미션을 성공하고,  그래서, 영웅은 영웅으로 남는다.   이 이야기는 신화원형에서 이야기는 전형적인 판타지다.   전체적인 구조는 이 전형을 따른다.    이 영화가 재미난 점은 판타지와 현실의 교차 편집이다.  감독은  현실이 곧 꿈이요, 꿈이 곧 현실이다 는 장자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보다.    물론 기독교적인 '남을 위하여 자기 자신을 내어 놓는 것 만큼 큰 사랑은 없다'는 그 이야기를  전하고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여튼 영화가 그리 밝지는 않다.  세상은 어찌 밝은 것만 있으랴,  한번 즈음 이런 영화를 통해, 현실의 이율배반을 생각해 보면서,  훗날 자식 새끼가,    '부모님, 왜 세상을 사는 것은 이다지도 힘드나요?' 라고 묻는다면,  그 대답을 미리 준비해 놓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공리주의  프랑크 왕정이 스페인을 지배하고, 그 정권은 우리 그늘 아래 있으면 행복할 것이다 고 하는데, 반군은 그게 삶의 전부는 아니라고 한다.   그놈의 공리주의에 대한 이율배반이다.   감독이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이 영화를 만들었는지,  도교적인 관점에서 이 영화를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를 보는 내내, '참 모순이다 - 결국 세상은 모순 밖에 없나 보다' 라는  편협한 생각을 계속하게 만들었다.   더 웃긴 것은  이 영화가 공리주의를 건국  이념으로 한 미국에서 만들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