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괴물(2006, The Host)
제작사 : 영화사청어람 / 배급사 : (주)쇼박스
공식홈페이지 : http://www.thehost.co.kr

괴물 예고편

[뉴스종합] 10월 2주차 국내 박스오피스. 이병헌 > 소지섭 > 장동건 12.10.15
[뉴스종합] 9월 3주차 국내 박스오피스. <광해, 왕이 된 남자>, 예상대로 1위 등극 12.09.17
평범과 차별 그리고 가족애 sunjjangill 10.08.07
괴물 bsw418 10.01.01
우리나라 괴수영화는 정말 답없음;;; ★☆  psjin1 14.03.30
새로운 시도~~ 손꼽히는 한국 영화 중 하나~ ★★★★  o2girl18 12.04.12
졸작이라고 생각됨 ☆  golam 12.03.09



봉준호 감독, 꿈의 프로젝트로 괴물 영화에 도전한다!

화성연쇄살인 사건을 소재로 영화적인 재미뿐만 아니라 사회적, 감정적 파장을 일으키며 하나의 신드롬까지 형성한 <살인의 추억>. 그 이후 봉준호 감독은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괴물 영화에 도전한다. 고등학교 때 우연히 목격한 ‘한강교각을 오르는 괴물’을 영화화하리라 생각했던 그 꿈을 지금 실현하려고 하는 것이다.

오래 전부터 영화로 만들고 싶었다는, 단순하지만 무엇보다도 순수한 열정에서 시작된 영화 <괴물> .
봉준호 감독이 3년간 한강 둔치 및 다리 곳곳을 직접 발로 뛰면서 완성한 시나리오는 그 자체만으로 일본에 판매(320만불 미니멈 개런티, 150만불 투자, 토탈 470만불의 계약을 성사)되기도 하였으며, 그동안 한국영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탄탄한 구성과 치밀한 스토리 속에서 개성 넘치는 캐릭터의 조합과 섬세한 대사가 돋보인다.

괴물영화라는, 한국에서는 낯선 장르지만 누구나 유쾌하게 즐길 수 있는 오락영화를 봉준호 감독이 어떤 모습으로 담아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살인의 추억>팀 다시 뭉쳤다.

2003년 <살인의 추억>을 만들어냈던 배우와 스탭들이 영화 <괴물>을 위해 다시 뭉쳤다.
한국영화 최고의 배우로 손꼽히는 송강호, 제2의 전성기를 맞은 변희봉, 항상 새로운 연기를 선보이는 박해일, 매력적인 연기를 펼치는 배두나. 그리고 김뢰하, 박노식, 윤제문, 고수희 등 개성 넘치는 연기파 조연 배우들의 출연만으로도 화제다. 봉준호 감독과 전작에서 호흡을 맞춰왔던 이들은 한국영화계에서 가장 신뢰 받고 있는 배우들이며, 연기에 대한 무한한 열정과 에너지를 지닌 최고의 배우들이다.
한편, 국내최고의 김형구 촬영감독, 이강산•정영민 조명감독, 류성희 미술감독, 이병우 음악감독이 모두 봉준호 감독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를 기반으로 영화 <괴물>에 의기투합하였다.
2003년 <살인의 추억>을 만들어냈던 이들의 만남은 그 자체만으로도 관객을 설레이게 한다.
최고의 배우들과 스탭진의 작업만으로도 큰 기대를 안겨주는 영화 <괴물>은 2006년 최고의 영화가 될 것이다.

한국 영화 장르의 역사를 다시 쓴다!

괴물이 등장하는 영화는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사랑을 받으며‘Creature movie’라는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 원초적인 흥분과 영화적 긴장을 듬뿍 안겨주며 매니아층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 영화에서는 60~70년대 공포영화의 소재로 몇몇 괴물이 등장하는 영화가 있었을 뿐, ‘괴물 영화’라는 장르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는‘괴물’이라는 실재하지 않는 생명체를 새롭게 창조해서 표현해야 하는데 전문적인 기술, 자본, 완성도 높은 시나리오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랜 기간 한국영화에서‘괴물 영화’라는 장르는 그 누구도 쉽게 손댈 수 없는 금기시되는 영역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2006년 드디어 이 금기시 되어왔던 장르의 벽이 영화 <괴물>에 의해 무너진다.
영화 <괴물>은 새로운 생명체인 ‘괴물’을 창조하여, 영화 속에서 완벽하게 구현해 낼 뿐만 아니라, 그 동안 괴물 영화에 대한 불신을 안겨주는 요소였던 상상력과 표현력의 한계를 모두 뛰어넘는다.
2006년 영화 <괴물>을 통해 관객은 새로운 시각적 충격과 영화적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킹콩><반지의 제왕><해리포터와 불의 잔>
세계 최고의 시각효과팀이 뭉쳤다.


정체 불명의 생물체, ‘괴물’의 완성은 영화 <괴물>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이자 핵심이다.
단순히 기존 영화에 등장한 괴물이나 동물, 또는 여타 캐릭터를 흉내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생물을 새롭게 창조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제작경험이 많고 능력있는 팀을 물색, 장희철 크리처 디자이너가 ‘괴물’디자인을 하고, <킹콩><반지의 제왕>의 웨타 워크샵이 장희철 디자이너와 함께 ‘괴물’모델링작업을, <해리포터와 불의 잔><슈퍼맨 리턴즈>의 오퍼너지가 CG작업을 맡아 진행하였다. 특히 이 시각효과 작업의 총괄은 <쥬라기 공원><샤크><맨인블랙2> 등의 작품에서 실력을 인정 받은 캐빈 래퍼티(Kevin Rafferty)가 담당했다.

이들의 모든 작업을 통해 마침내 살아 움직이는 ‘괴물’의 모습이 탄생하게 되었다.
마치 조물주가 되어 하나의 생명체를 창조하듯이 오랜 시간과 인고의 노력 끝에 탄생한 것이다.

한강의 새로운 모습이 펼쳐진다.

영화 <괴물>은 무엇보다 구체적인 공간 포인트가 중요한 영화이다.
그래서 봉준호 감독은 시나리오 작업과 더불어 2년 여 기간 동안 한강 헌팅을 병행하였다. 계절에 따라, 시간대에 따라, 구름의 분포에 따라 매번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한강과 시민공원의 일상을 꾸준히 사진으로 담아가면서 최적의 이미지를 만들어갔다. 또한 강남과 강북을 잇는 21개의 다리는 물론, 다리 아래 어둡고 음침한 시멘트 동굴과 미로처럼 얽혀있는 우수구와 하수구 깊은 곳까지 찾아 다닌 끝에 가장 일상적인 공간과 영화적인 공간 모두를 한강에서 찾을 수 있었다.

영화 <괴물>에서 한강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한강과는 다른 새로운 모습이다. 오랜 기간 동안 철저한 로케이션 작업을 통해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특수한 공간, 한강의 새로운 모습들이 영화 <괴물>을 통해 여과 없이 펼쳐진다.



(총 318명 참여)
iake0105
울애들이 보고싶어해서 보러 갈려구 하는데 재미 있을것 같아여~~요즘 우리 영화들 헐리우드 못지않게 만들고 있잖아요~~~봉감독님 화이팅여~~~^*^     
2006-07-27 23:48
minyyas
osy05300/한국영화를잘안보는게아니라 헐리우드영화만 보는거아닌가요?님시각에서 지루하다고 다른사람에게 비추하는 것은 정말 어불성설이네요. 멀 도대체 알고 영화를 보는건지..한심하네요. 에이리언을 생각하며 괴물을 본건가본데.... ㅉㅉㅉㅉ.. 재미없고있고는 개인의 자유이지만 다른사람에게 종용하지마세요. 무식이탄로납니다.     
2006-07-27 23:21
wecandoit
우리로선 이제 막 시작한 분야입니다. 근데 할리우드처럼 완벽한 그래픽이 나올 수야 없죠
100억으로도 부드러운 괴물의 움직임을 만든 괴물 제작진과 감독에게 오히려 경의를 표해야 하지 않을까요?     
2006-07-27 18:46
wecandoit
osy05300/님은 할리우드식 영화를 기대하고 보셨나봐요
이 영화 볼 때 분명 주의할 점은, 할리우드식 괴물영화를 기대하지 말라는 거라고 여기저기서 들었는데, 그런 말 한번도 못 들어보셨나요?
이 영화의 초점은 그게 아니죠.
할리우드식 유치한 때려부수기 영화에 너무 익숙해지신듯...
그리고 그래픽의 좋고나쁨을 미국과 비교하면 그게 말이나 됩니까?
    
2006-07-27 18:46
osy05300
사실한국영화는잘안보는편인데매스컴에서하두떠들어오늘한번미친척하고봤습니다.시간돈아까워죽는줄알았습니다.혹시나가역시나로바뀌면서밀려오는실망감.여러분절대로보지마세요.열라짜증납니다.억지스토리,억지그래픽,그리고억지웃음...심형래식괴물영화의또다른버전...봉감독은하던거나하시는게나을듯...에이리언생각하고보시면오산입니다.졸려요...     
2006-07-27 17:41
mryoung
배고픈은 괴물이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다 인간들 잘못이지요..
함부로 버리는 폐기물,쓰레기..문제,,,무능력한 정부, 힘없는
서민,,,이시대 진정한 괴물은 누구인지? 생각하게 하는 영화..     
2006-07-27 13:26
mll27
괴물 목소리는 오달수 목소리에 다양하게 섞어 놓은 것임. ㅎㅎ     
2006-07-27 12:35
mll27
최고입니다. 자연을 거스르는 인간의 이기심에 대한 대가를 국가가 아닌 개인이 맞서 싸우는!!! 어쨋든 대단한 영화일따름. 그리고 스크린쿼터 논할 그런 작품이 아닙니다. 스크린쿼터를 뛰어 넘는 영화입니다.강츄     
2006-07-27 12:34
kally78
오늘 보가 갑니다!~~
근데 기대가 되느데...이러면 안되거든요!!
기대가 크면.. 실망이 커서..
기대하지 말자.. 기대가 되는데.. 기대하지 말자.. 기대가 되..
기대하지 말자.. 기대된다. ㅠ.ㅠ
    
2006-07-27 09:56
lcmania
봉준호 감독님 너무너무 존경하구요, 그만큼 너무너무 기다렸던 영화구요!! 근데...상영관이 620개인건 조금 심했네요...스크린쿼터가 문제가 아닌데요 이정도면....     
2006-07-26 21:13
이전으로이전으로26 | 27 | 28 | 29 | 30다음으로 다음으로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