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전형적인 문법에서 탈피” <옥수역 귀신> 정용기 감독
2023년 4월 26일 수요일 | 박은영 기자 이메일

[무비스트=박은영 기자]

<옥수역 귀신>은 호랑 작가의 동명 웹툰을 스크린에 확장한 공포 영화다. 특종을 노리는 기자 ‘나영’(김보라)이 옥수역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의문의 죽음을 취재하던 중 맞닥뜨리는 비밀과 진실을 다룬다. ‘가문의 영광’ 시리즈 이후 근 10년 만에 복귀한 정용기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어느 순간 현장의 최연장자가 됐다며 웃는 감독을 만났다. 여성=피해자라는 전형적인 문법에서 탈피하고 한국적인 색채를 부여했다는 감독, 동시에 사회문제를 은근하게 스며들게 했다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여자는 안 죽는다’는 소개가 화제다.
공포 영화의 장점은 극단적인 스토리 전개를 통해 어떤 카타르시스와 주제 의식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다. 하지만 그 희생양은 주로 여성이다. 으레 여성이 비명을 지르고 도망 다니다 살해당하곤 하지 않나. 이런 전형적인 문법에서 벗어나고자 신입기자인 ‘나영’(김보라)은 담대하고 당찬 모습으로, 그의 친구 ‘우원’(김재현)은 놀라고 공포에 떠는 설정으로 가져갔다.

그렇지 않아도 나영이 너무 태연한 모습이라 어떤 의도가 있을 것 같더라. (웃음)
나영을 통해 단순한 공포보다 젊은 세대의 현실을 반영하려 했다. 이 세대의 특징 중 하나가 자기 일에는 집중하지만, 그 외에 대해서는 덤덤하고 무관심한 면이 있다. 보라 씨도 ‘너무 덤덤한 것 아니냐’고 말하기도 했는데 우원이가 보통의 일반적인 반응을 보이니 나영은 덤덤하게 가도 된다고 말해줬다. 나영은 사회초년생으로 상사(사장)로부터 가스라이팅을 당하지만, 성격적으로 강하고 단단한 친구라 좌절하기보다 극복하는 인물이다.

영화 <링>의 각본가(다카하시 히로시)가 참여해서 그런지 우물, 선로 등 일본 공포 영화에서 익숙한 설정이 눈에 띈다.
처음 각본을 받고 일본 공포영화와 유사점이 많다고 느꼈었다. 원래 2000년대 초반 인기를 끈 클래식한 일본 공포 영화 스타일로 기획했다고 하더라. 각색하는 과정에서 이유 없는 저주가 아니라 원혼을 달래는 ‘한풀이’를 해야 저주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설정 등을 더해 한국적인 색채를 강화했다.

개인적으로 <컨저링> 시리즈 같은 공포 영화를 좋아한다. 선이 승리한다는 결말이 명확해서다. <옥수역 귀신>은 도저히 <컨저링> 같은 엔딩을 할 수 없는 내러티브라 고민하다가 엔딩에 주제와 메시지를 담았다. <링>이나 <주온> 등 일본 정통 호러에서 보이는 무조건식 저주의 전염이 아니라 원인을 제공한 당사자가 직접 사과하고 원한을 풀어줘야 한다고 말이다.

원래도 주인공 직업이 기자였나. 극 중 자극적인 기사로 어그로를 끌고 ‘기레기’라는 표현도 자주 등장해서 현 세태를 향한 일침 같기도 하던데.
원래부터 기자였다. 기자의 본질은 진실을 파헤치는 역할이라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논리적으로 사건을 풀어나가는 인물로서 적합하다. 저널리즘을 비판하려는 의도보다 SNS 중독을 얘기하고 싶었다. 나이가 들수록 영화가 미칠 영향을 생각하게 된다. 영화의 규모가 크든 작든 대중에 파급력이 크니 책임감이 생기더라. 개인으로서야 누군가 혹은 무엇을 비판할 수 있겠지만, 영화라는 매체 안에서는 신중하게 다가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번에도 여장 남자가 나오는데 처음에는 트랜스젠더로 할까 하다가 크로스드레서(여장 남자, 남장 여자를 총칭)로 정하고 여자 배우를 캐스팅했다. 또 나영이 다니는 언론사 규모를 어떻게 할지 많이 고민한 결과 지금 같은 인터넷 가십 매체로 설정했다.

단순한 공포를 넘어 전형성을 탈피하고 젠더 갈등 같은 사회현상을 은근하게 터치한 시도가 돋보인다.
공포영화는 ‘공포’가 우선인 게 맞다. 비용을 지불하고 일부러 극장에 찾아오는 거 아닌가! 또 영화는 어떤 식으로든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인물과 서사 속에 메시지를 은근하게 녹일 수 있고, 이렇게 무의식적으로 스며들게 하는 것을 선호한다. 젊은 세대일수록 젠더 갈등이 심한 것 같고, ‘여자는 지켜야 할 대상’이라는 전통적인 사고가 많이 희미해졌더라. 사회문제를 살짝 건드리면서 개인적인 생각이나 의도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려 했다.

아이들을 부르는 번호 역시 단순한 숫자의 조합이 아니다.
‘태희’(신소율) 남매의 아버지는 보육원을 운영했었고, 아이들을 이름 대신 입소한 날짜로 불렀다. 예를 들면 ‘0816’ 이런 식이다. 극 중 등장하는 날짜는 크고 작은 아동 관련 학대 사건이 발생했거나 세상에 알려진 날짜다. 피해 가족을 생각해서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겠지만, 국민의 공분을 샀던 여러 사건들이다.

폐역사와 우물 등 옥수역과 관련해서 어디까지가 팩트인가. 궁금해할 관객이 많을 것 같다.
옥수역 주변에 우물이 많았다는 건 사실이더라. 그리고 폐역사는 촬영 여건상 더해진 설정이다. 코로나 시기라 전국 지하철역 중 촬영할 수 있는 곳이 부산 한군데밖에 없었다. 다행인 건 우리가 촬영을 끝낸 바로 다음 날 촬영 전면 금지가 됐다는 점이다. 하루만 늦었어도 큰일 날 뻔했다! 그런데 그곳은 지하 역사더라, 알다시피 옥수역은 지상역이지 않나. 고민하다가 옥수역에 폐역사가 있고 그곳에서 원혼이 출현하도록 했다. 옥수역 외관은 촬영팀이 한두 명씩 나눠서 번잡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찍었고, 나머지는 후반작업을 통해 최대한 흡사하게 만들었다.

태희가 기이한 춤을 추는 오프닝부터 시선을 사로잡는다. 옥수역 지상철의 분위기가 제대로 살아있다.
원래 태희는 광인이 되어 나영에게 칼을 휘두르게 돼 있었는데 이건 아니다 싶더라. 소율 씨에게도 그렇게 간다면 이미지만 소모될 뿐이라고 이야기했다. 태희는 옥수역 괴담의 상징 같은 인물이다. 그가 ‘왜 거기서 춤을 추게 됐는가’를 밝혀나가는 게 우리 영화이고, 그러려면 태희는 미스터리한 존재여야 했다. 또 긴장된 분위기를 조성하는 훌륭한 맥거핀이기도 하다.

김보라, 신소율 그리고 아이돌 출신 김재현 배우까지 어떤 면에 끌려 캐스팅한 건가.
공포영화 주인공은 무조건 예뻐서도 그렇다고 무조건 어둡거나 기괴해서도 안 된다. 제일 중요한 건 눈빛이다. 보라 씨의 큰 눈이 나영 캐릭터에 적합했고 소율 씨는 가로로 긴 눈이라 클로즈업하면 약간 귀신 같은 느낌이 난다. (웃음) 재현 씨는 평소 공포영화를 무서워서 못 볼 정도라고 했는데 그래서인지 나영이 옆에서 대신 (공포 등) 반응해주는 ‘우원’ 역을 너무 잘 소화해 줬다. 또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연민이 들게끔 캐릭터를 잘 표현해서 놀랐다.

마지막 질문이다. <가문의 위기> 등 ‘가문 시리즈’ 이후 오랜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라 감회가 남다를 것 같다. 소감 한 말씀 부탁한다.
2012년 그러니까 <가문의 영광 5>까지만 해도 매해 새 영화를 촬영했고 그게 당연하다 싶었다. 그런데 한 번 삐끗하니 복귀하는 데 시간이 걸리더라. 그동안 쉰 적은 없는데…(웃음) 중국에 작품하러 갔다가 2년을 허비했고 캐스팅 직전에 엎어진 작품도 있었다. 이런 와중에 <옥수역 귀신> 시나리오를 받았고, 웹툰의 강렬한 이미지가 있어서 꼭 하고 싶었다. 작품을 통해 리프레시한 것 같다. 뭐 오랜만에 현장에 오니 달라진 점도 많고, 무엇보다 어느 순간 현장에서 내가 제일 연장자가 됐더라! 하하하! 작품을 꾸준히 할 수 있다는 것 자체로 감사한 일이고, 드라마와 영화 모두 열어놓고 준비 중이다.


사진제공. ㈜스마일이엔티

2023년 4월 26일 수요일 | 글_박은영 기자 (eunyoung.park@movist.com 무비스트)
무비스트 페이스북(www.facebook.com/imovist)

0 )
1

 

1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