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할 것도 거창할 것도 숭고할 것도 없는 단순한 이야기에 멜로드라마가 개입하고 시대적 배경과 도시개발의 성공적 모델로 알려진 파주라는 공간이 뒤엉키면서 종잡을 수 없는 방향으로 가는 영화 <파주>에서, 나는 운동권 지식인의 잔상, 즉 여전히 지워지지 않는 시대의 흔적을 보았다.
수배를 피해 숨어들어간 선배의 집과 형의 교회를 거친 중식은 결혼을 통해 그녀의 집으로 들어간다. 주거불명에서 주거확실한 자로의 편입. 시국사범에서 공부방 선생을 거쳐 철대위주동자로의 위상변화. 세 명의 여자가 그와 관계했고 그를 기억하거나 사랑했으며 그에게서 떠나간다. 적어도 시작은 그렇게 보였다. 그런 그가 보험사기로 구속이 되다니. 뭔가 이상했다. 조국통일을 위해 청춘을 불사른 정치범에서 졸지에 보험금에 눈먼 잡범으로 추락한 것이다. 노무현과 김대중이라는 386의 버팀목이 사라진 시대에, 개발독재시대의 신화적 기업가가 대통령이 된 시대에, 박찬옥은 안개 자욱한 파주에서 길을 잃은 중식의 행로를 통해 여전히 정주하는 공간이 아닌 심리적 은신처를 갈망하며 존재증명에 골몰하고자 발버둥치는 운동권지식인들의 초상을 노정한다.
박찬옥이 <파주>에서 내세운 중식은 자유로운 영혼과 거리가 먼 인물이다. 그는 철저한 은둔자인 동시에 주거지의 안온함과 불안을 동시에 안고 살아갈 운명을 타고 난 인물로 보인다. 그는 거리에서 외치는 법이 없다. 외부에 모습을 드러내며 벌이는 투쟁이 아닌 자신의 거점을 확보한 후 그곳을 발판 삼아 일을 도모하는 전형적인 파르티잔이다. 공간을 벗어날 수 없는 자, 거리에 설 수 없는 자, 그러니까 자기 공간에서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으려는 인물이 중식이다(그는 도로에서 커피를 팔 때도 천막 밖으로 나와 호객행위를 하지 않는다). 수배시절의 불안과 조심성이 몸에 밴 탓인지 몰라도, 어떻게 해서든 공간을 확보하려는 그의 생존법은 은수와의 결혼으로 이어지고 처제 은모의 연정을 싹틔우도록 기능한다. 중식의 이야기를 은모의 시점으로 볼 수밖에 이유가 여기 있다.
중식은 ‘사진 한 장으로 구원 받은 자’이다(섹스의 열락에 빠진 사이 죽은 아이에 대한 부부의 죄책감이 빚어낸 지옥도, 라스 폰 트리에의 <안티 크라이스트>를 보면 이해가 쉽다). 선배가 내민 아이의 사진을 보고는 안도감 섞인 울음을 토해내는 자. 그러고도 첫사랑을 은신처제공자 정도로 이야기하는 자, 솔직함을 가장한 교만이 몸에 배어있는 자가 중식이다. 온전히 몸을 던져 싸우지도 못하고 앞에서 주동하되 끝까지 책임지지도 못하고 자기사람을 지켜내지도 목숨 바쳐 사랑할 자신도 없는 그에게 (자신이 점거한) 파주로 돌아온 처제는 가장 쉬우면서도 무서운 상대였다. 따라서 그는 “언니를 사랑했다”고 말했어야 했다. 지식인의 몰락을 부채질하는 것은 자신만이 정당하고 합리적이라고 믿는 순간, 모든 사람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달콤한 착각에 빠지는 순간, 이념과 이상의 틀 속에 현실이 침투하며 균열을 불러일으키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중식은 욕심을 부리면서 처제에게 가탁(假託)하고자 한다. 속칭 ‘남성지식인’이라 불리는 자들이 사랑과 여성에 대해 얼마나 무지한가를 잘 보여주는, “한 번도 너를 사랑하지 않은 적이 없어”라는 차라리 백기투항에 가까운 허망한 자백. 인물심리를 정밀하게 묘사하는 박찬옥의 빼어남이 여기에 있다(<질투는 나의 힘>의 마지막에서 윤식을 도무지 이길 수 없다고 판단한 원상의 선택. 성연은 애초부터 그것을 간파하고 있지 않던가). 박찬옥식 사유의 대미를 장식하는 지점, “내가 같이 있어봐서 아는데...은모는 모르는 게 좋을 거 같아요.” 마지막까지 그를 움켜쥔 자만심이 말하고 있었다. 그것은 공개적 반성 없이 입으로만 “용서해주세요”를 (지극히 사적인 공간에서) 속삭이는데 익숙한 자는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의 재확인이다.
“왜 이런 일을 하는지”에 대한 확신마저 사라진 한 남자가 끝내 놓고 싶지 않았던 것은 누군가의 사랑과 그늘이었다. 그것이 중식의 시대착오적 패착이다. 그리하여 중식에게 새겨지는 가장 더러운 인장. 즉 ‘사랑하지 못했던’ 아내의 집에서 ‘아무 것도 아닌’ 첫사랑과 함께 일을 도모하던 자에게 씌워진 ‘보험 사기범’이라는 불명예다. 조국통일과 정의와 평등을 부르짖던 운동권지식인에게 이보다 가혹한 형벌이 있을까? 사랑 없는 이념과 대의는 이토록 허약하고 속절없다. <파주>는 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를 살아온 감독의 자기성찰이자, 아직도 스스로의 감옥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지식인 앞으로 배달된 고해성사표이기도 하다.
2009년 11월 13일 금요일 | 글_백건영 편집위원(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