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음악교사인 영수(신하균)는 같은 학교 선생인 미연(김혜나)과 연인이다. 하지만 학부모인 또 다른 미연(문정희)과 첫눈에 반해 사랑을 시작한다. 둘의 불륜이 계속되던 어느 날, 영수는 학부모 미연으로부터 이별을 통보받는다. 이별을 받아들일 수 없는 영수는 학부모 미연의 남편을 죽이려고도 하지만 결국 미연을 놓아준다. 실의에 빠져 청계천을 걷던 영수는 우연힌 선화(정유미)를 구해주고 선화의 사랑 이야기를 듣는다. 하지만 선화로부터 자신을 사랑하지 말라는 당부를 받는다. 선화와 선화의 옛 사랑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 영수는 선물을 배달하는 퀵 서비스 여인 은하(요조-신수진)로부터 자신에게 배달된 선물을 전해 받는다.
<카페 느와르>의 이야기를 요약하자면 연인이 있는 남자가 불륜을 저지르고, 그로 인해 두 사람을 모두 잃고 외로워한다는 내용이다. 이렇게 정리를 하면 영화는 TV 통속극처럼 간단해 진다. 하지만 <카페 느와르>는 3시간 18분에 이르는 긴 러닝타임을 지니고 있다. 짐작했겠지만 영화는 단순히 내용을 전달하는 데에만 급급하지 않는다. 자신의 소원을 들어줄 한 명의 여자를 찾아 헤매는 영수를 중심으로 익숙하지만 낯선, 서울이라는 공간을 끊임없이 돌아다닌다. 또한 대사는 구어체가 아닌 문어체로 이루어져 있고, 지나간 사랑 이야기는 엄청나게 긴 대사량으로 처리되기도 한다. 분명 <카페 느와르>는 지금까지 우리가 봐 온 영화들과는 스타일이나 의미 전달 방법에서 다른 길을 택했다. 굉장히 낯설지만 그렇기 때문에 흥미롭다.
우선 이 영화가 선택한 가장 핵심적인 정체성은 책이다. 영화의 중심 이야기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백야’와 관련을 맺고 있는데, 인물들이 주고받는 대사들이 모두 이 책들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게다가 대화법 역시 책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 문어체로 이루어져 있다. 정성일 감독은 ‘책의 리얼리즘’이라는 말로 이들의 ‘사실성’에 대해 얘기했는데, 영화를 보는 내내 영화가 완벽히 책의 모습을 하고 있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 영화의 접근법에는 약간의 의문도 있다. 과연 책을 읽지 않은 이들에게 이들의 행위는 어떻게 ‘읽힐’ 것인가? 마치 영화를 볼 수 있는 자격 조건을 제시한 듯한 뉘앙스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외에도 <카페 느와르>는 다양한 영화들의 인용으로도 관심이 간다. 아예 대놓고 장면과 대사를 따온 <극장전>부터 <괴물> <올드보이> <살인의 추억> <행복> 등의 우리 영화가 여러 방식으로 인용된다. 또한 브레히트, 체호프, 라캉 등은 물론 고다르, 오즈 야스지로 등의 고전 영화감독들의 스타일도 묻어난다. 저 장면은 어느 영화의 어떤 장면! 이라고 똑 부러지게 밝히지 못한다 하더라도 영화를 즐겨온 이들에게 <카페 느와르>의 장면 장면들은 남다른 재미를 준다. 게다가 그 장면들이 서울이라는 지독하게 낯익은 공간에서 느껴지는 특별함이라는 점에서 생각할 바를 준다.
정성일 감독은 영화의 길이에 대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인용하며 “죽음을 늦추는 시간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백야’를 가져왔고, 덕분에 베르테르는 죽음을 조금 더 연기했다. 영화가 6시간, 8시간이었다면 그 죽음은 조금 더 연기됐을 거다. 하지만 사랑과 죽음이라는 근본적인 설정은, 설정 그 자체로는 한계가 보이기도 한다. 하여 정성일 감독은 이러한 태생적인 설정을 현실에 대입하기도 한다. 우리 시대가 우리에게 가져온 죽은 시간들, 변화된 모습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찌됐던 목숨을 연명하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에서 현실은 또 다른 ‘극사실주의’를 드러낸다. 책의 리얼리즘은 영화를 관통하며 삶의 리얼리즘으로 변모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 감독으로서의 정성일이 얼마나 드러났을까 하는 의구심도 든다. 영화에 드러나 많은 가치와 의도가 선배 영화인들, 고전 감독들이 만들어놓은 토대에서 그들을 인용하거나 거부하거나 비웃기도 한다. 영화를 향한 순수한 예술적 접근이 한 영화광으로 하여금 영화를 만들게 했고, 그것이 <카페 느와르>라는 결과물을 낳았다면, 정성일은 감독으로서 자신의 모습을 아직 드러내지 않은 셈이다. 그의 말대로 두 번째 영화가 만들어졌을 때, 감독 정성일을 만나게 되지 않을까 싶다.
2010년 12월 27일 월요일 | 글_김도형 기자(무비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