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검색
검색
윤여정
+ 생년월일 : 1947년 6월 19일 목요일 / 국적 : 한국
+ 성별 : 여자
 
출 연
2022년 제작
파친코 (Pachinko)
선자 역
2020년 제작
미나리 (Minari)
순자 역
2019년 제작
행복의 나라로
2019년 제작
찬실이는 복도 많지 (Lucky Chan-sil)
2019년 제작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BEASTS CLAWING AT STRAWS)
순자 역
2017년 제작
그것만이 내 세상
2016년 제작
죽여주는 여자 (The Bacchus Lady)
2014년 제작
자유의 언덕 (Hill Of Freedom)
2014년 제작
장수상회 (Salut D’Amour)
금님 역
2014년 제작
계춘할망
2013년 제작
고령화가족
엄마 역
2012년 제작
돈의 맛 (The Taste of Money)
백금옥 역
2012년 제작
다른나라에서 (In another country)
박숙 역
2012년 제작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Behind The Camera)
2011년 제작
푸른소금 (Hindsight)
강여사 역
2010년 제작
하녀 (Housemaid)
병식 역
2010년 제작
하하하 (夏夏夏)
문경 모 역
2009년 제작
여배우들
여정 역
2008년 제작
가루지기 (Garoojigi)
할멈 역
2007년 제작
황진이
할멈 역
2006년 제작
오래된 정원
현우 모 역
2006년 제작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모니카 수녀 역
2004년 제작
꽃피는 봄이 오면
엄마 역
2003년 제작
바람난 가족
홍병한 역
2002년 제작
네 멋대로 해라 (TV) (Ruler of Your Own World)
정유순 역
1995년 제작
죽어도 좋은 경험: 천사여 악녀가 되라
1985년 제작
에미 (Woman Requiem)
1971년 제작
화녀 (Woman of Fire)
출 연
2021년 도그데이즈(가제) - 민서 역
2015년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Right Now, Wrong Then)
2001년 동서는 좋겠네 (TV)
2001년 사랑은 이런거야 (TV) - 이정자 역
1999년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TV)
1977년 코메리칸의 낮과 밤
1972년 충녀
각 본
2009년 여배우들
특별출연
2005년 그때 그사람들


70년대 김기영 감독의 <화녀> <충녀> 등에서 충격적인 여성상을 선보이며 한국의 팜므파탈로 불렸던 윤여정. 18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작품 <바람난 가족>에서 첫사랑과 솔직하게 바람난 쿨한 시어머니 역을 연기, 평단의 호평과 관객의 지지를 받아내며 그 저력을 재확인시켜주었다.

대한민국 영화대상에서 <바람난 가족>으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을 때, 그녀는 이미 고인이 된 김기영 감독을 언급하며 감동적인 순간을 연출하였다. 김기영 감독의 <화녀>에서 주연을 맡아 그 해 청룡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영화계에 데뷔한 그녀는, 이후 영화보다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에서 더욱 빛을 발했다. 80년대 <에미>를 끝으로 거의 스크린을 떠나 있던 그녀를 다시 카메라 앞에 불러들인 영화는 <바람난 가족>. 환갑의 나이에 개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여자 병한 역을 맡아 관록 잇는 연기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이 캐릭터의 미묘한 질감은 윤여정이 아니라면 불가능한 것. <바람난 가족>으로 오랜만에 스크린으로 외출하여, 뇌리에 깊이 각인되는 명연기를 선보였다. 이후 수많은 영화에서 러브콜을 받아왔지만 고심 끝에 선택한 시나리오는 <꽃피는 봄이 오면>. 그녀는 이 영화를 통해 명실상부한 일품 내면 연기를 유감없이 발휘할 것이다.

임상수 감독의 신작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때 그사람들>에 선뜻 출연을 결정한 윤여정은 '윤희모(母)' 역으로 특별 출연하며, 특유의 보이스로 영화의 마지막 나래이션을 장식했다.

영화 <바람난 가족>,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등에 출연하며 대중들에게 인상 깊은 연기를 선보인 그녀는 영화<여배우들>에서 ‘국민 어머니’라는 칭호를 끔찍하게 듣기 싫어하는 여배우 ‘여정’을 연기한다. 대한민국 노년 여배우의 자존심이라 할 수 있는 그녀는 앞으로도 늙지 않는 열정과 죽지 않는 연기 혼을 불사르며 자신의 프라이드를 지켜냈다.

자신과 남다른 인연이 있는 2010년 <하녀>에서는 <바람난 가족>을 시작으로 꾸준히 작업해온 임상수 감독과의 환상적인 호흡을 선보이며 익숙함과 과감함을 넘나드는 빼어난 연기력의 정점을 선보였다.

매작품마다 꾸준히 전성기를 갱신한 그녀는 이번 <미나리>로 전형성을 벗어난 독창적인 한국 할머니 ‘순자’를 그려냈다. 봉준호 감독이 윤여정 연기 인생 가장 사랑스러운 캐릭터라는 평을 남길 정도의 매력적인 인물로 구축시킨 그녀는 전 세계 연기상 23관왕을 석권하며 한국영화계에 한 획을 그었다. 더불어 미국 매체 버라이어티는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예측 1위로 선정하는 등 개봉 전부터 할리우드를 뒤흔들며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필모그래피
영화_<찬실이는 복도 많지>(2020),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2020), <죽여주는 여자>(2016), <계춘할망>(2016), <장수상회>(2015), <돈의 맛>(2012), <다른나라에서>(2011), <하녀>(2010), <여배우들>(2009), <가루지기>(2008), <오래된 정원>, <황진이>(2007),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2006), <그때 그사람들>(2005), <꽃피는 봄이 오면>(2004), <바람난 가족>(2003), <에미>(1985), <코메리칸의 낮과 밤>(1978), <충녀>(1973), <화녀>(1971) 외 다수


드라마_[장희빈](1971), [사랑이 뭐길래], [여자의 방](1992), [작별](1994), [TV가족극장], [목욕탕집 남자들](1996), [내가 사는 이유](1997), [짝사랑], [사랑밖에 난 몰라], [거짓말](1998),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1999), [꼭지](2000), [호텔리어](2001), [네 멋대로 해라](2002), [아일랜드](2004), [굳세어라 금순아], [유행가가 되리](2005), [여우야 뭐하니](2006), [며느리 전성시대](2007), [그들이 사는 세상](2008), [집으로 가는 길], [맨 땅에 헤딩](2009) 등


수상경력
2020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여우조연상
2017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
2016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즈 심사위원 대상
2016 몬트리올 판타지아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2010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1971 대종상 신인상
1971 시체스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외 다수


10.00 / 10점  

(총 0명 참여)
1


관련 매거진 뉴스



1일동안 이 창을 열지 않음